장준우 셰프 겸 칼럼니스트
고백하건대 진가를 느껴 보기 전까지 차를 도대체 무슨 맛으로 마시는지 잘 몰랐다. 강렬하고 인상적인 커피의 세계에 비해 차는 풍미가 단조롭고 격식은 지루해 보였다. 일상에서 맛보는 차라고 해 봐야 현미녹차 정도가 다였으니 말이다. 향기로우면서 청아한 우롱차를 처음 맛보고 난 후 차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차의 정점이라고 하는 보이차, 다채로운 매력의 홍차 등 차에 대한 경험을 점차 넓히던 중 일본 차를 만났다. 가루 형태로 된 진한 녹색의 말차를 처음 접했을 때의 인상은 ‘도대체 무슨 맛인가’였다. 여태 맛보고 즐기던 차와는 너무 달랐기에 당혹스러웠던 첫 만남이었다.
일본의 유명 녹차 산지인 후쿠오카의 티 살롱 야마시나에서 차를 만드는 모습(왼쪽 사진). 차 가루에 뜨거운 물을 붓고 거품을 내 마시는 말차(가운데)는 원래 중국 송나라 때 유행했다가 사라진 방식으로 현재는 주로 일본에서 만날 수 있다. 일본식 녹차인 센차(오른쪽)는 진한 녹색과 해조류를 연상시키는 감칠맛이 특징이다.
중국에서 차가 본격적인 기호식품이자 음료로 유행하게 된 건 7세기경 당나라 때다. 차를 보존과 운송이 용이하게 구멍 뚫린 호떡 모양으로 단단하게 가공해 유통했다. 차를 뜯어 절구에 빻아 가루로 만들었다. 물이 끓으면 소금을 넣고 다시 끓으면 차 가루를 넣어 달였다. 이렇게 만든 차는 국자로 퍼서 다구에 옮겨 마시는 게 일반적이었다.
송으로 넘어가면서 오늘날 일본의 말차 같은 방식으로 차 마시는 유행이 바뀌었다. 가루 낸 녹차를 냄비 대신 사발에 넣어 뜨거운 물을 붓고 휘저어 가며 차를 우렸다. 이때 다른 재료를 첨가하지 않고 차 본연의 순수한 맛을 즐기기 시작했다는 의미도 있다. 15세기 명나라 시기에는 작은 찻잎을 썼다. 동아시아에서 중국이 강대해지면서 주변국에 영향을 끼쳤는데 차 문화도 그중 하나였다. 주로 불교 승려들과 유학생을 통해 당시 차 문화가 전파됐다. 신라 말기 문인인 최치원은 당나라에 거주하면서 고국에 있는 가족에게 차와 약을 보냈다는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일본 후쿠오카의 티 살롱 야마시나는 규슈 지역에서 생산되는 여러 차를 수집하고 가공해 다양한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다.
차를 만드는 방식에 따라 결과물의 개성이 다르다는 게 차의 매력 중 하나다. 차를 즐기는 요소는 크게 세 가지다. 향과 색 그리고 맛. 중국은 향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 차를 다루는 기구인 다구 중 향을 맡기 위한 별도의 잔이 있을 정도다. 일본의 경우 차의 색과 맛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찌는 방식으로 만든 녹차는 덖어낸 차보다 싱그러운 풀 향이 더 강하고 해조류에서 나오는 감칠맛을 느낄 수 있다. 진한 녹색을 가진 말차의 경우 찻잎에 든 엽록소를 그대로 마시는 듯한 기분을 선사한다. 한국의 녹차는 중국과 일본의 중간 정도라고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중국 쪽에 더 가깝다. 화려하거나 강한 중국의 향미보다 은은한 향과 색 그리고 맛을 즐기는 듯하다.
이렇다 보니 마시는 방법 또한 차이가 난다. 만약 중국이든 일본이든 선물 받은 녹차를 우려 마셨는데 도통 무슨 맛으로 먹는지 모르겠는 경험을 했다면 차의 특성을 모른 채 잘못된 방식으로 차를 우려냈을 가능성이 높다. 뜨거운 물에도 적정 온도가 있다. 중국과 한국의 녹차는 70~80도, 쪄낸 일본 녹차의 경우 그보다 조금 낮은 70도 정도 온도의 물로 짧게 우려내야 녹차가 가진 섬세하고 우아한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다. 물을 끓이고 나면 명상하듯 숨을 고르며 물이 식을 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방법이다. 빨리빨리나 성급함은 차를 제대로 즐기는 데 가장 방해되는 요소임을 잊지 말자.
2023-03-29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