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석 딸기책방 대표
따사로운 햇살 아래 유모차 타고 책방을 찾는 아기, 띄엄띄엄 한글을 읽으며 제 손으로 책을 고르는 아이, 학생이 됐으니 그전보다 글밥이 많은 책을 고르겠다며 책장을 뒤지는 초등 신입생…. 보기만 해도 입꼬리 올라가는 싱그러운 손님들이다. 봄 닮은 이들의 방문은 이어진다. 팔짱을 끼거나 손을 꼭 잡고 책방 문을 넘어서는 연인들이다. 함께 책을 고르거나 자기가 고른 책을 상대에게 소개하거나, 서로에게 들려주는 말소리가 환하고 부드러운 봄바람 같다. 그들끼리 한참 책을 보다가 간혹 책방지기를 끼워 줄 때가 있다.
“사장님, 저희에게 권해 줄 만한 책 없을까요?”
게으른 책방지기지만 이 순간만 기다렸다는 듯 자리에서 벌떡 일어선다. 실제로 연인들이 꼭 읽어 보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그림책들이 있다. 사랑에 관한 이 그림책들은 어린이도 읽으면 좋을 책이지만 어른들이 받는 감동이 더 클 때가 많다.
그중 가장 자주 권하는 책이 가스 윌리엄스의 ‘토끼의 결혼식’과 사노 요코의 ‘100만 번 산 고양이’다. 한 권은 희극으로, 한 권은 비극으로 끝나는 이야기 둘은 ‘사랑이 뭐야?’라는 뻔하지만 되풀이되는 젊은 연인들의 질문에 답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토끼의 결혼식’ 속 하얀 아기 토끼와 까만 아기 토끼는 둘도 없는 친구다. 그런데 언제부터인지 까만 아기 토끼가 이상하다. 잘 뛰어놀다가도, 옹달샘에서 시원한 물을 먹다가도 털썩털썩 주저앉아 슬픈 표정을 짓는다. 걱정이 된 하얀 아기 토끼가 이유를 묻자 검은 아기 토끼는 소원을 빌고 있는 중이라고 말한다. 젊었던 사랑을 기억해 보자. 그 소원이 얼마나 절실하고 얼마나 눈물 나게 간절한지, 그 사랑이 깨질까 얼마나 두려운지…. 책장을 넘기며 조마조마하던 독자는 ‘하얀 아기 토끼가 까만 아기 토끼에게 보드랍고 하얀 앞발을’ 내미는 순간 검은 아기 토끼와 함께 행복 가득한 웃음을 짓게 된다.
‘100만 번 산 고양이’는 멋진 얼룩 고양이다. 얼마나 멋진지 100만명이 그 고양이를 귀여워했다. 100만번을 살았으니 그만큼 죽었을 얼룩 고양이, 죽을 때마다 100만명이 울어 주었다. 그들의 울음 덕분인지 고양이는 100만번 되살아났다. 하지만 얼룩 고양이는 단 한 번도 운 적도, 누구도 사랑한 적 없다. 억룩 고양이의 100만번째 삶에 드디어 사랑이 찾아왔다. 첫사랑은 더없이 큰 행복을 안겨 주었지만 이제껏 겪어 보지 못한 슬픔도 안겨 준다. 영원하지 않기에 존엄한 것이 삶과 사랑이라는 듯이.
두 책 모두 책장을 넘기자면 10분이 채 되지 않는 시간이지만 평생 마음에 남을 만한 글과 그림을 보여 준다. 동네 가까운 책방에 봄바람처럼 들러 찾아보시길.
2023-03-0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