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보름의 콘텐츠로 보는 세상] 한류를 뛰어넘은 한류

[김보름의 콘텐츠로 보는 세상] 한류를 뛰어넘은 한류

입력 2024-10-29 23:51
수정 2024-10-29 23: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블랙핑크의 로제와 브루노 마스가 함께 부른 ‘아파트’로 전 세계가 떠들썩하다. 한국 젊은 세대의 술자리 게임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는 이 곡의 후렴구는 한번 들으면 계속 귓가를 맴돌며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흔히 ‘후크’라고 불리는 후렴구는 쉬운 가사와 반복적인 멜로디로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도록 만든다.

나이지리아에서는 한국어로 영화가 만들어졌다. ‘마이 선샤인, 나의 햇살’이라는 1시간 15분짜리 영화에서 배우들은 한국어로 연기를 한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여주인공이 상류층 학교에 다니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갈등과 그녀를 둘러싼 삼각관계는 K드라마에서 익숙하게 볼 수 있는 서사다. 영화 전반에 걸쳐 자주 등장하는 “앗싸”, “대박” 같은 한국어 표현이 처음에는 다소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영화를 보다 보면 어느새 익숙해진다.

로장금이라 불리는 인플루언서도 있다. 한식을 주로 요리하는 캐나다 청년 로건 모핏은 김치는 물론 제육볶음, 보쌈, 김밥 등 한국 음식을 순식간에 뚝딱 만들어 먹는 콘텐츠를 인스타그램, 틱톡, 유튜브에 선보이며 전 세계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얼마 전에는 로건이 만든 한국식 오이샐러드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도 캐나다도 아닌 북유럽 아이슬란드에서 오이 품귀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로건 요리의 특징은 마치 한국 요리의 묘미인 ‘손맛’을 아는 듯 대부분의 요리를 계량컵은 물론 숟가락도 쓰지 않고 눈대중으로 대충 뿌리고 섞어서 만드는 데 있다.

지금까지의 한류 팬덤이 BTS의 노래를 따라 부르고, ‘오징어 게임’의 의상을 따라 입으며, ‘기생충’의 짜파구리를 만들어 먹는 등 한국 문화를 수동적으로 소비하는 형태였다면 이제는 한국 문화에 깊이 빠져들어 직접 콘텐츠를 만드는 보다 적극적인 창작자의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한국 음악, 드라마, 영화 등을 감상하고 즐기는 데 그쳤다면 이제는 한국 문화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해석해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단계에 이르렀다.

한류와 관련된 강의를 하다 보면 학생들이 자주 하는 질문이 있다. 하나는 ‘한류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이고, 또 하나는 ‘다음에 주목받을 K콘텐츠는 무엇인가’이다. 한류의 끝이 언제일지, 다음 세대의 K콘텐츠가 무엇일지 예측하기는 쉽지 않다. 한류에는 문화적 피로감, 반한류 정서, 과도한 상업화 등 도전적 요인들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이제 한류는 의식주의 생활문화로 확산되면서 전 세계 사람들의 자연스러운 일상 문화로 뿌리내리고 있다는 것이다. 동시에 창작자들에게는 예술적 영감과 새로운 자극제 역할을 하면서 여태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콘텐츠들을 다양하게 만들어 내는 자양분이 되고 있다. 이제 한류는 단순히 일방적인 문화 소비를 넘어 직접 참여하고 생산하는 과정을 통해 더욱 풍부하고 다채로운 모습으로 진화하고 있다. 한류는 한국을 뛰어넘어 전 세계가 함께 만드는 글로벌 문화가 됐다.

김보름 한성대 문학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이미지 확대
김보름 한성대 문학문화콘텐츠학과 교수
김보름 한성대 문학문화콘텐츠학과 교수
2024-10-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