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넷플릭스에 올라온 ‘흑백요리사’가 화제다. ‘흑백요리사’는 요리사 100명을 흑수저와 백수저로 나누어 요리 대결을 벌이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지금부터 당신의 계급이 정해집니다. 계급을 증명할 것인가, 계급을 넘어설 것인가”라는 자극적인 설명으로 시작되는 프로그램은 한국 사회의 수저계급론을 반영하듯 요리사들을 흑수저와 백수저로 나눴다. 미슐랭 스타를 받거나 유명 요리대회에서 우승해 명성을 얻은 20명의 요리사는 백수저로,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맛집 요리사나 반찬 사업 최고경영자, 급식실 조리사 같은 80명의 요리사는 흑수저로 구분했다.
‘흑백요리사’는 요리사의 유명세나 경력보다 ‘맛’으로 승부하는 점을 강조한다. 흑수저 80명 중 20명을 선발해 백수저 20명과 대결시키는 두 번째 라운드에서 심사위원은 안대로 눈을 가리고 오로지 맛으로만 평가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시청자들은 프로그램이 중요시하는 맛을 직접 음미할 수는 없다.
요리 프로그램의 시청자들은 아무래도 시각과 청각에 의존하며 간접적으로만 음식을 경험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 보니 제작자는 극적인 긴장감과 서사적인 감동을 강조하기 위해 출연자들의 과장된 말이나 반응을 편집의 핵심 요소로 부각시키려 했다. 더욱이 서바이벌 프로그램은 승패를 가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요리가 가진 본질적 가치가 희석되기도 한다.
개인적으로 ‘흑백요리사’를 재미있게 봤지만, 요리사들의 창의적 재료 활용이나 요리법보다는 흑수저와 백수저 중 누가 생존했는지가 더 궁금했던 것 같다. 그래서 중간 과정은 빠른 속도로 건너뛰며 경쟁에서 살아남은 요리사가 누구인지 결과만 확인하기도 했다. ‘흑백요리사’ 역시 의도된 연출과 편집, 인위적이고 과장된 갈등 구도로 피로감을 주었고, 흑과 백의 양극화된 구도를 도식적으로만 적용함으로써 경쟁에서 꼭 이겨야만 한다는 열망을 부추기는 듯해 아쉬움이 남았다.
그동안 리얼리티 서바이벌 프로그램은 진흙 속에서 숨은 진주를 발견하고 참가자들의 열정과 성장 과정을 함께 응원하며 큰 화제를 모았다. 이런 측면에서 재능 있는 요리사를 발굴하고 그들만의 요리법을 보여 주려는 ‘흑백요리사’가 반가웠다. 백수저 요리사 대부분이 처음부터 백수저 계급이었던 것이 아니라 흑수저가 겪어 온 험난한 과정을 거쳐 그 계급에 이르렀다는 점도 흥미로웠다. 허울뿐인 백수저가 되기 위해 흑수저가 고군분투하며 어려움을 극복해 가는 뻔한 대결 서사를 넘어서는 지점에 프로그램의 예상치 못한 즐거움도 있었다.
무엇보다 과도한 비판으로 참가자뿐만 아니라 시청자들에게도 불편함을 주었던 기존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심사위원과 달리 날카로운 지적 안에 요리를 한 사람에 대한 배려와 따뜻함이 묻어나는 안성재 셰프의 심사평이 인상적이었다. 앞으로 ‘흑백요리사’가 어떤 에피소드로 전개될지 사뭇 궁금해진다.
김보름 한성대 문학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지금부터 당신의 계급이 정해집니다. 계급을 증명할 것인가, 계급을 넘어설 것인가”라는 자극적인 설명으로 시작되는 프로그램은 한국 사회의 수저계급론을 반영하듯 요리사들을 흑수저와 백수저로 나눴다. 미슐랭 스타를 받거나 유명 요리대회에서 우승해 명성을 얻은 20명의 요리사는 백수저로,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맛집 요리사나 반찬 사업 최고경영자, 급식실 조리사 같은 80명의 요리사는 흑수저로 구분했다.
‘흑백요리사’는 요리사의 유명세나 경력보다 ‘맛’으로 승부하는 점을 강조한다. 흑수저 80명 중 20명을 선발해 백수저 20명과 대결시키는 두 번째 라운드에서 심사위원은 안대로 눈을 가리고 오로지 맛으로만 평가한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시청자들은 프로그램이 중요시하는 맛을 직접 음미할 수는 없다.
요리 프로그램의 시청자들은 아무래도 시각과 청각에 의존하며 간접적으로만 음식을 경험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 보니 제작자는 극적인 긴장감과 서사적인 감동을 강조하기 위해 출연자들의 과장된 말이나 반응을 편집의 핵심 요소로 부각시키려 했다. 더욱이 서바이벌 프로그램은 승패를 가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요리가 가진 본질적 가치가 희석되기도 한다.
개인적으로 ‘흑백요리사’를 재미있게 봤지만, 요리사들의 창의적 재료 활용이나 요리법보다는 흑수저와 백수저 중 누가 생존했는지가 더 궁금했던 것 같다. 그래서 중간 과정은 빠른 속도로 건너뛰며 경쟁에서 살아남은 요리사가 누구인지 결과만 확인하기도 했다. ‘흑백요리사’ 역시 의도된 연출과 편집, 인위적이고 과장된 갈등 구도로 피로감을 주었고, 흑과 백의 양극화된 구도를 도식적으로만 적용함으로써 경쟁에서 꼭 이겨야만 한다는 열망을 부추기는 듯해 아쉬움이 남았다.
그동안 리얼리티 서바이벌 프로그램은 진흙 속에서 숨은 진주를 발견하고 참가자들의 열정과 성장 과정을 함께 응원하며 큰 화제를 모았다. 이런 측면에서 재능 있는 요리사를 발굴하고 그들만의 요리법을 보여 주려는 ‘흑백요리사’가 반가웠다. 백수저 요리사 대부분이 처음부터 백수저 계급이었던 것이 아니라 흑수저가 겪어 온 험난한 과정을 거쳐 그 계급에 이르렀다는 점도 흥미로웠다. 허울뿐인 백수저가 되기 위해 흑수저가 고군분투하며 어려움을 극복해 가는 뻔한 대결 서사를 넘어서는 지점에 프로그램의 예상치 못한 즐거움도 있었다.
무엇보다 과도한 비판으로 참가자뿐만 아니라 시청자들에게도 불편함을 주었던 기존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심사위원과 달리 날카로운 지적 안에 요리를 한 사람에 대한 배려와 따뜻함이 묻어나는 안성재 셰프의 심사평이 인상적이었다. 앞으로 ‘흑백요리사’가 어떤 에피소드로 전개될지 사뭇 궁금해진다.
김보름 한성대 문학문화콘텐츠학과 교수
김보름 한성대 문학문화콘텐츠학과 교수
2024-09-2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