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 2일’, ‘삼시세끼’ 등을 연출했던 나영석 피디는 지난 5월 개최된 제60회 백상예술대상에서 TV 남자 예능상을 수상했다. 9년 전에도 TV부문 대상을 받은 적이 있지만 이번에는 연출가로서가 아니라 엔터테이너로서의 재능과 예능감각을 인정받았다. 구독자 650만명을 보유한 유튜브 ‘채널 십오야’에서 그는 모교인 연세대를 방문해 수업에 참여하고 동아리방에 들러 후배들과 대화하며 ‘학식’을 먹는 등 추억을 여행하는 콘텐츠를 선보였다. 흥미로웠던 점은 그가 자신을 팬이라고 말하는 후배보다 ‘구독이’라고 말하는 후배에게 더 반갑게 인사하고 사진을 찍으며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이었다.
구독이는 십오야 구독자들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유튜버들은 독특한 구독자 이름을 지어 유대감을 형성하며 친밀감을 높이곤 한다. 유튜브 운영자 입장에서도 자신의 콘텐츠를 구독하고 ‘좋아요’를 눌러 주며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팬들에게 아무래도 마음이 더 기울 수밖에 없나 보다.
최근 방송인 장도연이 진행하는 웹예능 프로그램 ‘살롱드립’에 게스트로 출연한 홍진경은 항상 카메라를 들고 끊임없이 무언가를 찍는 이유를 “누가 시키는 것도 아닌데 막상 해보니 그 자체가 너무 재밌어서, 그리고 심심하지 않고 외롭지 않아서 계속하게 된다”고 했다.
한 조사에 따르면 국내 유튜브 사용자가 4500만명이 넘는다고 한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 90%가 유튜브를 이용한다는 뜻이다. 보통 유튜브 사용자라고 하면 구독자가 떠오르지만 유튜브 콘텐츠를 만드는 유튜버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유튜브를 하는 이유는 창작의 욕구 발현, 정보 공유, 취미와 열정 추구, 커뮤니티 구축, 수익 창출 등 다양하겠지만 가장 근본적으로는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고 싶은 욕망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독일 실존주의 철학자 하이데거는 인간 존재는 타인들 속에서 존재함(in-der-Welt-sein)을 통해 구성되며 타자에 의해 인지되고 인정받는 것이 존재의 중요한 측면이라고 했다. 얼굴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요리하고 살림하는 콘텐츠를 선보이는 유튜버도, 가전제품의 사용 리뷰를 하는 유튜버도 결국은 콘텐츠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길 원한다. 메가 인플루언서도 영상 끝에 언제나 ‘좋구댓알’(좋아요, 구독, 댓글, 알림) 설정을 외치는 이유는 콘텐츠로 규정되는 나에 대한 인정 욕구 때문이다.
나 역시 한때 유튜브를 해야겠다고 진지하게 고민한 적이 있었다. 코로나 팬데믹의 사회적 거리두기 속에서 모두가 우왕좌왕하던 무렵, 채널명까지 생각하며 적극적으로 고민했던 이유는 일차적으로는 어려운 시기를 버텨 내는 학생들과 소통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교수 역시 나름의 방식으로 고군분투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 주고 싶었던 것 같기도 하다. 결국 유튜브는 다른 사람들에게 나의 존재를 확인받기 위한 저마다의 욕구를 드러내는 장이 아닐까.
김보름 한성대 문학문화콘텐츠학과 교수
구독이는 십오야 구독자들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유튜버들은 독특한 구독자 이름을 지어 유대감을 형성하며 친밀감을 높이곤 한다. 유튜브 운영자 입장에서도 자신의 콘텐츠를 구독하고 ‘좋아요’를 눌러 주며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팬들에게 아무래도 마음이 더 기울 수밖에 없나 보다.
최근 방송인 장도연이 진행하는 웹예능 프로그램 ‘살롱드립’에 게스트로 출연한 홍진경은 항상 카메라를 들고 끊임없이 무언가를 찍는 이유를 “누가 시키는 것도 아닌데 막상 해보니 그 자체가 너무 재밌어서, 그리고 심심하지 않고 외롭지 않아서 계속하게 된다”고 했다.
한 조사에 따르면 국내 유튜브 사용자가 4500만명이 넘는다고 한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 90%가 유튜브를 이용한다는 뜻이다. 보통 유튜브 사용자라고 하면 구독자가 떠오르지만 유튜브 콘텐츠를 만드는 유튜버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유튜브를 하는 이유는 창작의 욕구 발현, 정보 공유, 취미와 열정 추구, 커뮤니티 구축, 수익 창출 등 다양하겠지만 가장 근본적으로는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고 싶은 욕망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독일 실존주의 철학자 하이데거는 인간 존재는 타인들 속에서 존재함(in-der-Welt-sein)을 통해 구성되며 타자에 의해 인지되고 인정받는 것이 존재의 중요한 측면이라고 했다. 얼굴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요리하고 살림하는 콘텐츠를 선보이는 유튜버도, 가전제품의 사용 리뷰를 하는 유튜버도 결국은 콘텐츠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길 원한다. 메가 인플루언서도 영상 끝에 언제나 ‘좋구댓알’(좋아요, 구독, 댓글, 알림) 설정을 외치는 이유는 콘텐츠로 규정되는 나에 대한 인정 욕구 때문이다.
나 역시 한때 유튜브를 해야겠다고 진지하게 고민한 적이 있었다. 코로나 팬데믹의 사회적 거리두기 속에서 모두가 우왕좌왕하던 무렵, 채널명까지 생각하며 적극적으로 고민했던 이유는 일차적으로는 어려운 시기를 버텨 내는 학생들과 소통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교수 역시 나름의 방식으로 고군분투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 주고 싶었던 것 같기도 하다. 결국 유튜브는 다른 사람들에게 나의 존재를 확인받기 위한 저마다의 욕구를 드러내는 장이 아닐까.
김보름 한성대 문학문화콘텐츠학과 교수
김보름 한성대 문학문화콘텐츠학과 교수
2024-08-1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