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고무 대야에 돌멩이를 넣고 물로 씻는 쇼트폼 영상 조회 수가 930만을 넘었다. 조경석 회사 직원이 제작한 홍보 영상으로, 소셜미디어에서 입소문이 나면서 유명세를 탄 것이다. 영상을 본 사람들의 요청으로 판매하게 된 ‘반려돌’은 판매 시작 40초 만에 동났다. 돌멩이를 ‘키운다’는 표현이 다소 어색할 수 있지만 반려돌이란 반려동물이나 반려식물처럼 ‘키우는’ 돌멩이를 말한다. 이제는 동식물에서 나아가 돌멩이까지 반려의 대상과 취향이 다양해졌다. 우리나라 반려돌 열풍에 대해 최근 월스트리트저널은 과로사회에 살고 있는 한국인의 독특한 휴식 방식이라고 보도했다.
영어로 펫록(Pet Rock) 혹은 펫스톤(Pet Stone)이라 불리는 반려돌은 베트남전과 워터게이트 사건 등으로 사회적 우울감이 만연했던 1970년대 중반 미국에서 이미 엄청난 인기를 얻은 바 있다. 당시 펫록 아이디어를 성공적으로 상품화한 사람은 게리 달로, 그는 자그마한 돌멩이를 그럴듯하게 포장하고는 ‘먹이주기’ ‘돌보기’ ‘훈련하기’ 등의 내용을 상세히 담은 30쪽 분량의 교본과 함께 팔아 백만장자가 됐다. 사람들 마음을 재치 있게 위로하는 것으로 떼돈을 번 것이다.
국내에서는 반려돌을 구입하면 반려돌 등록증을 함께 받아 볼 수 있다. 여기에는 주민등록증처럼 반려돌의 이름, 나이, 국적, MBTI 등의 정보가 담겨 있다. 반려돌에 대한 사람들 마음이 이렇게 진심이다 보니 반려돌을 위한 액세서리도 다양하다. 돌멩이에 얼굴 표정을 그려 넣을 수 있는 매직펜이나 전용 세척 브러시부터 털모자와 목도리, 안경과 헤드셋, 흔들의자, 요람, 방석 등 각종 부대 상품이 즐비하다.
반려돌을 키우는 젊은 세대는 스스로를 석주(石主)라고 부르며, 반려돌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위로받고, 반려돌과 일상의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는 가운데 심리적 안정감을 느낀다고 말한다. 반려돌은 털 알레르기나 병충해로부터 안전하고 밥을 주거나 산책을 시킬 필요도 없으며 죽음과 같은 이별의 상실감도 느낄 필요가 없다. 그렇기에 반려돌 트렌드는 위로는 받고 싶지만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시간이나 노력은 굳이 들이고 싶지 않은 젊은 세대의 심리가 반영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전 세계 누구와도 손쉽게 연결되는 초연결 시대에 살고 있지만 소셜미디어의 디지털 세상이 보여 주는 관계의 화려함이나 친밀감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느끼는 고립과 단절, 외로움과 허전함은 여전하다. 그런 의미에서 마음을 두고 애정을 쏟을 대상으로 반려돌 하나 입양해 키우는 것도 나름대로 이유가 있어 보인다.
반려(伴侶)란 짝이 되는 동반자를 의미한다. 일상의 크고 작은 기쁨도 함께 누리고 죽음이나 이별로 인한 슬픔의 경험도 함께 나누는 관계다. 그렇다면 한쪽이 다른 한쪽에게 감정을 일방적으로 털어놓거나 원할 때만 원하는 방법으로 소통하는 관계가 진정한 반려라 할 수 있을지 의문이 남는다. 그러나 막상 주변을 살펴보면 반려돌을 대신할 만한 대상도 마땅치 않다. 반려핸드폰, 반려노트북, 반려태블릿…? 온기를 나누기 힘든 친구들밖에 떠오르지 않아 씁쓸하다.
김보름 한성대 문학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영어로 펫록(Pet Rock) 혹은 펫스톤(Pet Stone)이라 불리는 반려돌은 베트남전과 워터게이트 사건 등으로 사회적 우울감이 만연했던 1970년대 중반 미국에서 이미 엄청난 인기를 얻은 바 있다. 당시 펫록 아이디어를 성공적으로 상품화한 사람은 게리 달로, 그는 자그마한 돌멩이를 그럴듯하게 포장하고는 ‘먹이주기’ ‘돌보기’ ‘훈련하기’ 등의 내용을 상세히 담은 30쪽 분량의 교본과 함께 팔아 백만장자가 됐다. 사람들 마음을 재치 있게 위로하는 것으로 떼돈을 번 것이다.
국내에서는 반려돌을 구입하면 반려돌 등록증을 함께 받아 볼 수 있다. 여기에는 주민등록증처럼 반려돌의 이름, 나이, 국적, MBTI 등의 정보가 담겨 있다. 반려돌에 대한 사람들 마음이 이렇게 진심이다 보니 반려돌을 위한 액세서리도 다양하다. 돌멩이에 얼굴 표정을 그려 넣을 수 있는 매직펜이나 전용 세척 브러시부터 털모자와 목도리, 안경과 헤드셋, 흔들의자, 요람, 방석 등 각종 부대 상품이 즐비하다.
반려돌을 키우는 젊은 세대는 스스로를 석주(石主)라고 부르며, 반려돌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위로받고, 반려돌과 일상의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는 가운데 심리적 안정감을 느낀다고 말한다. 반려돌은 털 알레르기나 병충해로부터 안전하고 밥을 주거나 산책을 시킬 필요도 없으며 죽음과 같은 이별의 상실감도 느낄 필요가 없다. 그렇기에 반려돌 트렌드는 위로는 받고 싶지만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시간이나 노력은 굳이 들이고 싶지 않은 젊은 세대의 심리가 반영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전 세계 누구와도 손쉽게 연결되는 초연결 시대에 살고 있지만 소셜미디어의 디지털 세상이 보여 주는 관계의 화려함이나 친밀감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느끼는 고립과 단절, 외로움과 허전함은 여전하다. 그런 의미에서 마음을 두고 애정을 쏟을 대상으로 반려돌 하나 입양해 키우는 것도 나름대로 이유가 있어 보인다.
반려(伴侶)란 짝이 되는 동반자를 의미한다. 일상의 크고 작은 기쁨도 함께 누리고 죽음이나 이별로 인한 슬픔의 경험도 함께 나누는 관계다. 그렇다면 한쪽이 다른 한쪽에게 감정을 일방적으로 털어놓거나 원할 때만 원하는 방법으로 소통하는 관계가 진정한 반려라 할 수 있을지 의문이 남는다. 그러나 막상 주변을 살펴보면 반려돌을 대신할 만한 대상도 마땅치 않다. 반려핸드폰, 반려노트북, 반려태블릿…? 온기를 나누기 힘든 친구들밖에 떠오르지 않아 씁쓸하다.
김보름 한성대 문학문화콘텐츠학과 교수
김보름 한성대 문학문화콘텐츠학과 교수
2024-05-0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