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훈 변호사
기후위기가 와인 산업 자체의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던졌다. 기후는 포도의 생육, 와인의 풍미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따뜻한 날씨는 보통 좋은 품질의 와인을 만드는 데 기여한다. 최근 유럽에서는 여러 해 연속으로 좋은 빈티지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추세로 기온이 높아지면 지금과 같은 특성과 풍미를 가진 와인을 더이상 만들 수 없다는 위기감이 와인 양조자들을 바꾸고 있다.
와인 산업의 변화는 기후변화의 영향에 직접 노출된 당사자가 어떻게 행동하는지 보여 주는 하나의 사례에 불과하다. 기후위기 음모론이나 교조적 환경보호 주장에 물들 리 없는 대기업도 이러는데 여기에 무슨 말을 더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명백한 기후위기 앞에서 개인은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산업구조 전환이나 국제협력 없이 개인의 노력으로 이에 대응할 수는 없다. 어차피 임박한 파국은 피할 수 없다는 얘기가 불행히도 맞을지 모른다. 분리수거를 하면서도 “우리가 이러면 뭐 하나, 미국에서는 훨씬 많은 쓰레기를 한 방에 그냥 버리는데” 하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개인의 행동은 좋은 시스템이 작동하는 데 분명히 역할을 한다. 코로나19 초기, 무슨 병인지도 모르고 백신도 기약이 없던 시절의 마스크 사용을 생각해 보자. 마스크에 저항감이 없던 문화권과 반대로 마스크 착용 강제를 정부가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으로 여긴 문화권의 차이는 현저했다. 방역당국이 시행하는 방침이 물론 중요하지만, 마스크를 쓰고 손을 잘 씻는 사람은 최소한 옆 사람에게 코로나19를 옮기지 않았을 것이다.
환경 문제도 비슷하겠다. 일회용품 사용을 절제하지 않던 사람, 육식을 줄이고 탄소배출이 적은 교통수단을 활성화하자는 운동에 대해 현실적 욕망을 간과하는 교조주의라고 생각하던 사람이, 일회용품이 금지되거나 지금처럼 소고기가 넘치도록 공급되지 않거나 화석연료를 쓰는 교통수단 사용이 제한되는 일이 현실로 다가왔을 때 적응하고 행동을 바꾸기는 쉽지 않다.
공동선의 의미가 희박해진 시대다. 정부와 기업의 대응은 더딘데 개인의 행동을 규제하는 것이 의미가 있냐는 질문 또한 유효하다. 하지만 남이 잘못한다고 나도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는 일이고, 늘 지구를 구할 정도의 일을 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조금이라도 환경을 살리기 위한 개인적 실천은, 공동선에 대한 기여를 떠나 스스로의 적응력과 생존 가능성의 문제일지 모르겠다. 옳고도 좋은 일이면 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2022-09-2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