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훈 변호사
그리고 주인공들이 정해진 의학 지식과 절차 내에서 움직이는 모습을 그렸다는 점이다. 장기기증 같은 극적 사건에서도 공식 절차를 통해 당사자의 진의를 확인하고 기증 동의를 할 때까지 기다릴 뿐이다. 범인을 꼭 잡아야 하는 개인적 이유를 품은 형사, 사회 정의가 그 한 사람의 어깨 위에 달려 있는 것처럼 극화된 검사, 미친 사람 소리를 들어가며 앞뒤 안 가리고 사건을 향해 달려드는 기자, 누구도 진단하지 못한 병을 알아채는 천재 의사, 이런 납작한 캐릭터에 사실 다들 질리지 않았나?
주인공들이 탁월한 능력과 인성을 겸비한 비현실적 캐릭터임에도 오히려 이 작품이 현실에 맞닿아 있다고 느낀 것은 바로 이런 부분이다.
현실이 녹록지 않아 그런지 히어로 영화를 볼 때만이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영웅이 세상을 구하는 서사를 원한다. 세상에 없던 것을 만들어 내는 테크기업의 선구자들을 보면 가끔은 그런 영웅이 실제 있나 싶기도 하다.
대통령 후보들은 자기가 한국을 구할 영웅이라 주장하고 유권자들은 사상 최악의 비호감 대선이라 하면서도 내심 그런 대통령을 기대한다.
하지만 그런 일은 현실에서 일어나지 않는다. 개인의 삶은 혹시 극적인 결심이나 사건으로 바뀔지 모르겠으나 가족, 회사, 지역사회, 국가로 단위가 확장돼 갈수록 그런 일은 쉽지 않다. 특히 한국처럼 이미 선진국인 나라의 경우 부족한 것이 보이면 그 부분을 보수하는 식으로 운영되지 한방에 근본적인 방향이 바뀌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렇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도 않다. 영웅 서사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것이 사실 좋은 일이다.
우리가 일상을 유지하는 것은 영웅이 아니라 성실하게 시스템을 만들고 평범하게 이를 지켜 나가는 사람들 덕분이다. 물론 이런 얘기가 구조적인 문제점에는 눈을 감고 주어진 현실 안에서 개인의 노력이나 인성을 강조하는 보수적 시각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음을 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을 구하는 것은 꼭 그래야 할 이유나 열정은 없음에도 자기 할 일을 하는 사람들이다.
1년도 채 안 되는 짧은 기간에 코로나19 백신을 만들어 낸 것은 최첨단에 서 있는 기업과 관계자들의 놀라운 성취이지만, 하루에 수십 번씩 정해진 매뉴얼에 따라 주삿바늘을 찔러 넣었을 간호사 선생님의 노고가 아니라면 백신 접종은 우리에게는 현실이 될 수 없었다.
영웅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 그리고 그들이 하는 일의 가치가 인정받고, 지금보다 더욱 합당한 보상이 돌아가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
2021-12-1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