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그 찬란했던 시절/미술평론가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그 찬란했던 시절/미술평론가

입력 2022-08-09 20:08
수정 2022-08-10 02: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에두아르 뷔야르, ‘공원’, 1894년 (213.5×308㎝, 오르세미술관, 프랑스 파리)
에두아르 뷔야르, ‘공원’, 1894년
(213.5×308㎝, 오르세미술관, 프랑스 파리)
이 그림은 벨에포크 시대의 문화계 거물 알렉상드르 나탕송이 자기 집 살롱을 장식하기 위해 주문한 것이다. 폴란드 출신 유대인인 나탕송 집안은 은행업으로 부를 쌓았다. 알렉상드르와 그의 형 타데는 예술잡지 ‘라 르뷔 블랑슈’를 발행해 예술계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에두아르 뷔야르와 같은 고등학교에 다녔던 두 형제는 잡지를 통해 뷔야르를 지지하고 그림을 주문하는 등 든든한 후원자가 돼 주었다.

알렉상드르에게 전권을 위임받은 뷔야르는 공원에서 노는 아이들과 여인들을 소재로 두 폭짜리 패널화 세 점과 세 폭짜리 패널화 한 점을 제작했다. 아홉 개의 패널은 각자 독립성을 지니고 제목도 따로 있지만, 모아 놓으면 하나의 큰 그림이 되도록 구성했다.

‘공원’은 그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세 폭짜리 패널화다. 왼쪽 패널에서는 유모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아이들이 놀고 있고, 가운데 패널에서는 세 여인이 벤치에 앉아 얘기를 나누고 있다. 오른쪽 패널에서는 빨간 양산을 쓰고 검정 드레스를 입은 부인이 벤치에 앉아 있다. 푸른 하늘, 베이지색 땅, 초록색 나무가 시원스러운 조화를 이루고 군데군데 사용된 빨강이 생동감을 준다. 반짝이는 빛과 산뜻한 색채의 배합, 고요하고 우아한 분위기는 벨에포크 시대 프랑스 상류층의 취향을 말해 준다. 뷔야르는 유화 물감 대신 템페라를 사용해 화사하고 아련한 느낌을 냈다. 묘사는 평면적이고 장식적이다. 가운데 텅 비운 공간, 우연인 듯 끄트머리가 잘려 나간 구도에서 드가의 영향을 볼 수 있다.

1894년 완성된 그림이 저택으로 옮겨졌다. 세 폭 패널화는 살롱의 가장 긴 벽에 설치됐고, 두 폭 패널화 세 점은 나머지 세 개의 벽에 설치됐다. 장식이 완성되자 알렉상드르는 무려 삼백 명을 초대해 파티를 열었다. 그의 인생은 영원히 찬란할 것 같았다.

그러나 드레퓌스 옹호의 선봉에 섰던 ‘라 르뷔 블랑슈’가 1903년 경영 악화로 문을 닫았고, 이 잡지에 모든 것을 쏟아부은 나탕송 형제의 삶은 급격하게 기울기 시작했다.

1929년 알렉상드르는 35년이나 소장해 온 이 그림을 경매소에 내놓는 처지가 됐다. 오르세미술관은 그중에서 이 세 폭 패널화와 두 폭 패널화 한 점을 사들였다. 사람은 가고 그림은 남아 찬란했던 시절, 그 시대를 증언하고 있다.
2022-08-1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