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 존 포인터,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1862년
(51.2×71.1㎝, 개인 소장)
(51.2×71.1㎝, 개인 소장)
아름다운 에우리디케는 초원을 거닐다 독사를 밟아 목숨을 잃었다. 일설에는 자신을 겁탈하려는 무뢰한을 피해 달아나다 그리 됐다고 한다. 미칠 듯이 된 오르페우스는 아내를 찾아 하계로 내려갔다. 온갖 난관을 넘어 하계의 신들 앞에 나아간 오르페우스는 아내를 돌려 달라고 읍소했다. 신들은 그의 노래에 마음이 움직여 에우리디케를 데려가도 좋다는 허락을 내렸다. 단 지상에 도달할 때까지 그녀를 바라보면 안 된다는 조건을 달았다. 어둠을 헤치고 지상에 거의 닿을 무렵 오르페우스는 자기도 모르게 뒤를 돌아보았고 에우리디케는 하계로 빨려 들어가고 말았다.
프랑스 영화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2019년)에는 주인공인 화가 마리안, 마리안의 모델 엘로이즈, 하녀 소피, 이렇게 세 젊은 여성이 이 일화를 놓고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나온다. 엘로이즈가 책을 읽는다. 낭독을 마치자 소피는 분개하며 외친다. “그럴 수가! 오르페우스는 좀더 주의했어야죠!” 가장 상식적인 반응이다. 오르페우스는 왜 그 엄중한 순간에 실수를 저지른단 말인가. 마리안은 예술가다운 해석을 내놓는다. 오르페우스가 돌아본 것은 시인의 마음이라고. 그렇다. 시인은 행동하지 않는다. 시인은 과거를 반추하고 기억할 뿐이다. 엘로이즈는 에우리디케가 앞서가는 오르페우스를 불렀을지도 모른다는 의견을 내놓는다. 그것은 연인의 입장이다. 연인들은 항상 상대도 날 사랑하는지, 얼마나 사랑하는지 의심한다. 에우리디케는 오르페우스의 사랑을 확인하려 했을지도 모른다.
다 좋지만 나는 오르페우스의 마음을 생각한다. 간발의 차이로 아내를 영영 잃은 후 그가 느꼈을 비통함을. 목구멍까지 차오르는 후회와 쓰라림을.
2022-03-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