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가운데는 뜻에 따라 음이 달라지는 것들이 있다.
‘일체’와 ‘일절’ 같은 경우다. ‘일체’와 ‘일절’은 같은 한자(一切)를 쓴다. 그렇지만 문장에서 ‘모두’라는 뜻이면 ‘일체’가, ‘전혀, 절대로’란 뜻이면 ‘일절’이 된다.
한자 ‘識’도 이에 해당한다. 이것이 ‘알다, 깨닫다’의 뜻이면 ‘식’으로 발음하고 ‘표시하다’나 ‘적다’란 뜻이면 ‘지’로 발음한다. ‘지식’(知識)이나 ‘식별’(識別), ‘식자우환’(識字憂患) 같은 단어들에서는 아는 것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모두 ‘식’으로 읽는다.
그렇다면 ‘標識’는 ‘표식’과 ‘표지’ 중 어떻게 읽어야 할까. 정답은 ‘표지’이다. ‘표지’는 ‘표시나 특징으로 어떤 사물을 다른 것과 구별하게 함. 또는 그 표시나 특징’이란 뜻이다. 즉 ‘표를 안다’는 뜻이 아니라 ‘표를 해 놓은 것’ 또는 ‘표로 표시한 것’이란 의미이므로 ‘표식’이 아니라 ‘표지’로 읽어야 한다.
‘도로표지’, ‘교통표지’, ‘표지등’, ‘안내표지’ 따위로 쓰인다.
한편 ‘표지’와 비슷한 말로 ‘표시’가 있는데 두 말의 차이를 헷갈려 하는 이들도 많다.
‘표시’(標示)는 ‘(어떤 사실이나 내용을) 문자나 기호, 도형 등으로 나타내는 것’을 뜻한다.
가령 “밑줄을 그어 표시를 해 뒀다”라고 할 때 그 행위는 ‘표시’를 하는 것이고 밑줄 자체는 ‘표지’가 된다. 즉 표시해 둔 마크가 곧 표지인 셈이다.
‘일체’와 ‘일절’ 같은 경우다. ‘일체’와 ‘일절’은 같은 한자(一切)를 쓴다. 그렇지만 문장에서 ‘모두’라는 뜻이면 ‘일체’가, ‘전혀, 절대로’란 뜻이면 ‘일절’이 된다.
한자 ‘識’도 이에 해당한다. 이것이 ‘알다, 깨닫다’의 뜻이면 ‘식’으로 발음하고 ‘표시하다’나 ‘적다’란 뜻이면 ‘지’로 발음한다. ‘지식’(知識)이나 ‘식별’(識別), ‘식자우환’(識字憂患) 같은 단어들에서는 아는 것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모두 ‘식’으로 읽는다.
그렇다면 ‘標識’는 ‘표식’과 ‘표지’ 중 어떻게 읽어야 할까. 정답은 ‘표지’이다. ‘표지’는 ‘표시나 특징으로 어떤 사물을 다른 것과 구별하게 함. 또는 그 표시나 특징’이란 뜻이다. 즉 ‘표를 안다’는 뜻이 아니라 ‘표를 해 놓은 것’ 또는 ‘표로 표시한 것’이란 의미이므로 ‘표식’이 아니라 ‘표지’로 읽어야 한다.
‘도로표지’, ‘교통표지’, ‘표지등’, ‘안내표지’ 따위로 쓰인다.
한편 ‘표지’와 비슷한 말로 ‘표시’가 있는데 두 말의 차이를 헷갈려 하는 이들도 많다.
‘표시’(標示)는 ‘(어떤 사실이나 내용을) 문자나 기호, 도형 등으로 나타내는 것’을 뜻한다.
가령 “밑줄을 그어 표시를 해 뒀다”라고 할 때 그 행위는 ‘표시’를 하는 것이고 밑줄 자체는 ‘표지’가 된다. 즉 표시해 둔 마크가 곧 표지인 셈이다.
2021-05-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