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태윤의 경제 인사이트] 주가 버블, 어떻게 형성되나

[성태윤의 경제 인사이트] 주가 버블, 어떻게 형성되나

입력 2021-02-07 20:16
수정 2021-02-08 03: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최근 실물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주가가 급등하면서 주식시장에 ‘버블’이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런데 주가가 폭락한 다음에 예전 가격이 버블이었다고 사후적으로 평가할 수는 있지만, 실제로 현재 주가가 버블이라고 사전에 확언하기는 어렵다. 현재 주가가 버블이라고 판단하려면 시장 가격이 기업의 본질 가치에서 이탈했다고 확신해야 하는데, 이러한 평가 자체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자산가격 이론에서는 기업의 본질 가치를 해당 기업이 미래에 벌어들일 현금 흐름의 현재 가치로 파악한다. 하지만 현실에서 미래의 현금 흐름을 현재 시점에서 정확히 예측한다는 것은 그 자체가 쉽지 않다. 오히려 이론적으로 시장 참여자의 전망치가 주식의 시장가격을 형성한다고 본다면 시장가격 자체가 미래 현금 흐름의 전망치여서 버블은 아예 존재할 수 없는 개념이 된다.

하지만 2002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버넌 스미스는 경제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 가운데 하나인 ‘이코노메트리카’(Econometrica)에 ‘버블, 붕괴, 그리고 실험적 현물자산시장에서의 내생적 기대’라는 제목으로 자산시장 버블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친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연구에서는 주식의 성격과 현금 흐름을 통해 기업의 본질적 기대 가치를 쉽게 계산할 수 있는 상황을 실험으로 구성한 후 시장 참여자가 어떻게 투자하는지 그리고 이에 따라 형성되는 가격의 움직임은 어떤지를 살핀다. 그런데 22번의 실험 가운데 14번에 걸쳐 ‘현금 흐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주식 가치와 주가의 괴리’, 즉 버블이 형성됐고 여러 후속 연구에서도 이러한 사실은 확인된다.

주식 보유로 얻을 수 있는 미래 현금 흐름을 알 수 있어 기업의 본질 가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환경에서도 버블이 형성될 수 있다는 뜻이다. 심지어 전문적으로 시장에서 주식을 거래하는 경험 있는 ‘트레이더’들이 참여한 실험에서도 이러한 패턴이 관찰된다. 가장 큰 이유는 미래의 현금 흐름은 알 수 있더라도 다른 시장 참여자들이 어떻게 움직일지 여전히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버블이 발생하는 것이다.

다만 전문적인 트레이더들이 참여하는 경우에는 주가가 현금 흐름에 대한 평가에서 이탈하는 정도는 감소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전문 투자자의 존재가 버블 자체를 제거하는 것은 아니지만, 개인투자자들이 대거 거래에 참여하는 상황에서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면 버블로 발전할 가능성을 높인다고 해석될 수는 있다. 특정 직업을 이야기하며 이분들까지 주식에 직접 투자할 때면 시장 붕괴의 전조라는 속설이 전혀 근거가 없지는 않다.

버블의 존재 여부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가격의 급락 가능성 때문이다. 특히 최근처럼 주식의 신용 거래가 급등하는 등 부채를 이용한 주식 투자가 번지는 상황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도 자체 재원으로 투자한 경우는 변동 장세에서도 장기 투자로 전환할 수 있지만, 대출에 기반한 투자 자금은 원리금 상환 압력을 버틸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부채에 의존해 투자된 주식이 매물로 쏟아지면 걷잡을 수가 없다.

특히 이러한 미래 현금 흐름과 괴리된 가격의 움직임을 보면 대개 가격이 빠른 속도로 상승한 후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다가 결국 급락한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하는데, 부채를 이용한 투자가 확대될 수 있는 환경에서 자산 가격 버블의 생성이 보다 용이한 것으로 확인되기도 한다.

1970년 미국인 최초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던 폴 새뮤얼슨 교수는 ‘주식시장은 지난 다섯 번의 경기침체 가운데 아홉 번을 예측했다’는 재미있는 어록을 남겼다. 주식시장이 실물경제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단순한 의미일 수도 있지만, 아홉 번의 주식시장 급락 가운데 다섯 번은 실물경기 과열을 반영한 주식시장 급등이어서 주가와 실물경기 조정이 함께 발생한 반면 나머지 네 번은 실물과 무관하게 주가가 형성된 후 급락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

사전적으로 주가의 특정 수준 자체를 버블로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실물경기와 괴리된 채 투자 경험이 많지 않은 개인투자자들이 시장에 유입되는 가운에 미래 현금 흐름이 불투명한 종목까지 가격이 상승하며 부채에 기반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면 주가 급변동 위험의 전조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은 기억해야 한다.
2021-02-0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