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현 코드미디어 디렉터
미국인들이 흔히 ‘콜아웃’(call-out)이라고 부르는, 특정 인물을 향한 지적과 비판 행위는 미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얼마 전 한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한 아나운서가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보고 난 후에 느낀 개인적 불편함을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에 적은 것이 인터넷에서 확산돼 많은 사람들의 분노를 샀다. 페미니스트들이 요구하는 것이 ‘이상한 평등’이라거나, ‘여자로 살면서 충분히 대접받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데 왜 그렇게 부정적인 것에만 주목하느냐는 말은 세상을 진보시키기 위해 노력해 온 많은 사람들을 허탈하게 만드는 말이었다.
그 아나운서의 말이 사람들을 특히 분노하게 만든 것은 인터넷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여성혐오론자들이 생각하는 편견을 여성의 입으로 고스란히 되뇌었다는 것. 그래서 많은 여성혐오론자들의 논리에 정당성을 부여해 줬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여기에서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그 아나운서는 사람들의 분노를 사기 전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름도 잘 모르는 인물이었다는 사실이다. 거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 진보적인, 아니 상식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화나게 한 후에야 보수와 여성혐오론자들의 영웅이 된 것이다.
미국 언론에서는 2016년 미국 대선 때 언론사들의 전통적인 보도 관행이 극우세력을 키웠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높다. 그때 했던 대표적인 실수가 이름 없는 극우세력 사람들이 대중의 분노를 일으키는 장난을 치면 언론이 대대적으로 보도를 하고, 그 결과로 그들의 이름을 알리고 극우가 결집하는 구심점을 제공해 준 것이다. 언론의 역할을 생각했을 때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한 결과로 오히려 사회에 해악이 되는 세력을 키워 주는 결과를 낳는 건 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현상이다. 디지털 미디어, 소셜미디어가 바꿔 놓은 풍경이다.
세상에는 잘못된 생각, 어리석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항상 존재해 왔다. 다만 과거에는 그런 사람들에게 마이크가 돌아가지 않았고, 지금은 그들도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말할 수 있게 됐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하지만 그들의 소셜 마이크에 거대한 스피커를 달아 주는 것은 거의 예외없이 대중의 도덕적 분노다. 이런 틀린 생각을 그냥 두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콜아웃’을 하고, 공유를 하는 과정에서 과거라면 무시하고 지나갔을 어리석은 생각이 거대한 스피커를 타고 온 국민에게 확산되는 것이다.
이를 화재에 비유해 보자. 흔히 불이 났을 때는 물을 뿌리면 꺼진다고 하지만 모든 불이 그렇지는 않다. 가령 식용유로 일어나는 주방 화재의 경우 물을 뿌리면 사방으로 불이 퍼지면서 상황을 오히려 크게 악화시킨다.
물론 널리 알려진 정치인이나 공인의 발언을 문제 삼고 비판하는 것을 게을리할 수는 없다. 하지만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지 못하면 당신이 가장 싫어하는 생각을 당신이 가장 앞장서서 퍼뜨려 줄지도 모른다.
지금은 세상을 떠난 한 코미디언은 “세상 사람 절반의 사고 수준은 평균 이하”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농담이지만 수학적인 팩트이기도 하다.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당신과 같은 수준으로 사고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불가능한 기대이고, 인류가 아무리 발전해도 당신이 보기에 어리석은 생각, 어처구니없는 말을 하는 사람들은 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그런 어처구니없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을 일일이 찾아내서 만방에 알리고 비판하는 것은 당장의 시원함은 줄지 몰라도 궁극적으로 상황을 악화시키는 일이다. 때로는 무시가 최선의 대응이다.
2019-11-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