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린 산업부 차장
MZ세대는 기업이 신제품을 출시할 때면 자신만의 취향과 감각을 만족시킬 수 있는 아이템이라면 언제든, 얼마든 지갑을 열 수 있는 매력적인 구매자로 불려 나왔다. 회사 경영진 앞에서도 성과만큼의 타당한 보상과 권리를 요구하는 ‘요즘 직장인’의 표상이기도 했다. 납득이 가지 않는 업무 지시엔 “제가요? 이걸요? 왜요?”라고 되물으며 상사들을 떨게 하는 ‘3요 주의보’의 주인공으로도 등장했다. 대기업 총수들의 ‘가열한 소통 행보’ 기사들이 줄지어 나온 이유이기도 했다.
연초부터 쇄신을 기치로 내건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국민과의 소통’을 최우선 과제로 꼽으며 MZ세대를 앞세웠다. ‘한국판 워런 버핏과의 점심식사’를 열어 주요 그룹 총수들이 2030의 고민도 듣고 사회적 해법을 강구한다고 한다. 전경련에 대한 비판과 사업 아이디어 등을 자문할 청년 자문단도 꾸린다. 한편으론 의아함이 생긴다. 전경련 위상 추락의 원인은 정경유착인데 MZ세대에게 먼저 기대는 형식적 작업이 밑바닥으로부터의 개혁이라는 통절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까.
MZ세대를 입맛과 용처에 맞게 활용하는 건 정부와 일부 언론에서도 마찬가지다. 9개 기업의 노조가 뭉친 새로고침노동자협의회를 ‘MZ노조’라 칭하며 기존 노조들과 ‘갈라치기’하고, 주당 근로시간을 최대 69시간까지 늘린 근로시간 개편안에 이른바 MZ노조와 MZ들이 반대하고 분노하자 대통령이 다시 보완 지시를 내리는 ‘헛발질’이 연출되기도 했다. 여야는 MZ 표심을 잡기 위한 ‘1000원 학식’ 아이템 선점 경쟁에 한창이기도 하다.
선거의 계절이 다가올수록 당사자들은 납득하지도, 원치도 않는 ‘MZ세대 호명’은 더 경쟁적이고 무차별적으로 전개될 것이다. ‘그런 세대는 없다’의 저자 신진욱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가 2020년 10월 초부터 2021년 9월 말까지 1년간 청년을 언급한 전체 기사들을 분석한 결과, ‘청년’과 ‘세대’가 함께 언급된 1만 2000여건의 기사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한 상위 20개 단어는 후보, 경선, 출마, 민주당, 국민, 이재명, 선언, 윤석열, 공약 등 모두 정치 일정과 관련된 것들이었다. 청년들에게 가장 중요한 생존 화두인 일자리는 1497번째, 실업은 5580번째로 한참 뒤로 밀려나 있었다.
저자가 “청년이란 기호는 모순적이고 분열적으로 정의되고 있어서 발화자의 의도와 필요에 따라 맘대로 가져다 쓸 수 있는 ‘주인 없는 물건’처럼 됐다. 세대를 동질한 사회집단으로 명명하는 순간, 특정 집단이 세대 전체를 대표하는 것처럼 허위 일반화하고 그 세대의 진정한 실태를 오인하게 된다. 그런 오인은 사회의 불평등과 차별을 정당화하거나 은폐하거나 재생산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비판하는 이유다.
정부, 정치권 등 발화 주체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불러내는 이 피상적인 세대명이 구체적 개인의 실제적 삶과 그 안의 문제는 외려 지워 내고 왜곡한다는 걸 매번 절감하면서도 여지없이 MZ세대를 달고 마는 건, 입맛에 맞게 재단하는 자의적 해석과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일 것이다. 청년의 문제를 제대로 직시하고 대변하고 해결하고 싶다면 이들 세대를 위한다는 핑계로 이득만 취하려는 무분별한 호출을 멈추는 것이 먼저이지 않을까. 안일하고 무지했던 세대 호명을 성찰할 때다.
2023-04-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