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환 국제부 선임기자
이런 푸틴의 정치적 행보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빼닮았다. 시진핑은 1997년 15차 당대회에서 중앙위 후보위원에 선출됐다. 투표 결과 151명 중 151위였다. 그를 위해 150명 정원을 늘렸다는 후문이다.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당시 공청단 제1서기를 맡아 승승장구하며 세계적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17차 당대회에서 시진핑은 리커창을 따돌리고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의 후계자로 지명됐다.
후진타오가 ‘상왕’ 장쩌민(江澤民)을 모시던 ‘힘든’ 모습을 목도한 시진핑은 2012년 집권하기 직전부터 권력을 향해 폭주 기관차처럼 달렸다. 당정군 장악과 정적 제거 작업을 치밀하게 진행한 것이다. 반부패운동은 만연한 부패 척결을 통해 민심을 얻는 효과 못지않게 정적 제거에도 유효한 카드였다.
권력과 부(富)를 양손에 쥐었던 저우융캉(周永康) 정치국 상무위원, 보시라이(薄熙來) 충칭시 당서기, 쉬차이허우(徐才厚) 군사위 부주석, ‘후진타오의 오른팔’ 링지화(令計劃) 통일전선부장 등 거물 정적을 차례로 감옥에 보냈고, ‘호랑이’로 불리는 장관급 관리 191명에게 줄줄이 쇠고랑을 채웠다. 시진핑은 덩샤오핑(鄧小平) 시절에 사용됐던 ‘당핵심’이라는 호칭을 부여받아 상무위원 7인의 집단지도체제를 무력화시켰다. 시진핑 집권 당시 ‘시ㆍ리 체제 출범’이라며 리커창과 권력을 분점할 것이라는 예상은 완전히 빗나가고 말았다.
‘시진핑 사상’을 당장(黨章)에 올리며 마오쩌둥(毛澤東)·덩샤오핑 반열에 올라선 시진핑은 격대지정(隔代指定·차차기 지도자를 미리 정함)의 전통을 깨고 후계자를 지명하지 않았다. 그런데 당총서기나 군사위 주석은 임기 제한이 없지만 국가주석은 ‘3연임 불가’라는 걸림돌이 있었다. 이미 1인 체제를 확고히 구축했던 시진핑은 개헌을 통해 국가주석 임기 제한을 없애 장기 집권의 길을 닦았다.
푸틴 역시 비슷한 정치 행로를 걸었다. 국가안보위원회(KGB) 출신인 그는 보리스 옐친 전 대통령을 보좌한 덕분에 총리로 전격 발탁됐다. 푸틴이 러시아 국민의 지지를 받은 것은 체첸 반군의 비극적 테러 사건이었다.
신경가스 살포 등 무자비하게 진압했던 푸틴은 단호한 지도자, 러시아 민족의 영웅으로 떠올랐다. 2000년대 들어 국제 유가의 고공 행진에 힘입어 정적 올리가르히(재벌) 세력에 대한 숙청을 벌여 경제권도 장악했다. 2000~2008년 대통령직을 수행한 푸틴은 3연임이 금지돼 할 수 없이 총리로 한발 물러났다.
이후 대통령 임기는 6년으로 늘어났고 다시 대통령에 올랐다. 2018년 연임에 성공한 그는 2024년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한다. 2018년 3월 장기 집권의 문을 먼저 연 시진핑은 1주일 뒤 대선에서 압승한 푸틴과 서로 당선 축전을 교환하며 ‘스트롱맨 브로맨스’를 과시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2년 전 ‘신독재 4단계’를 제시하며 러시아를 지목했다. 첫 번째 단계는 위기가 도래하고 자신을 구해 주겠다는 카리스마적 지도자를 선출한다. 두 번째는 이 지도자가 정적을 찾아내는 단계다. 세 번째는 지도자의 길을 가로막는 사법기관 등 독립기구들을 찍어 누른다. 마지막으로 규칙을 바꿔 장기 집권으로 나아간다.
중국은 지목하지 않았다. 어찌 하건 지도자를 국민투표로 뽑는 러시아와 달리 공산당원 대표 2270명이 당중앙의 뜻을 받들어 지도자를 선출하는 과정을 14억 인민들은 지켜봐야만 했으니까.
khkim@seoul.co.kr
2020-01-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