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규 체육부 전문기자
박인비와 박세리는 정말 닮은꼴이다. 1998년 US여자오픈에서 양말 자국이 생생한 까만 종아리를 걷고 물에 들어가 멋진 샷을 날린 끝에 우승하고 촌스럽게 활짝 웃던 박세리의 모습은 지금도 한국 골프 역사의 메인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다. 박인비는 그때의 박세리의 투혼을 보고 골프에 입문한 이른바 ‘세리 키즈’ 였다.
이번 박인비의 우승도 박세리 못지않게 특별했다. 그것은 아마도 불가능할 것이라고 모두가 예단했던 것들을 ‘가능’으로 바꿨기 때문이다. 박인비는 어느 날 찾아온 왼손 엄지손가락의 인대 손상으로 고통과 인내의 나날을 보내야 했다. 1위였던 세계 랭킹은 자꾸 떨어졌고 두 달간 골프채를 잡을 수가 없었다. ‘이룰 건 다 이뤘으니 목표도 더는 없을 것’이라는 비아냥까지 들었다. 여기에 올림픽 직전 출전한 국내 대회에서는 컷 탈락을 하는 수모까지 겪었다. 이에 올림픽 출전을 앞두고는 출전권을 다른 선수에게 양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막상 올림픽에 나서자 박인비는 다른 사람이 됐다. 마치 컨디션의 최고점을 올림픽에 맞춘 듯했다. 그는 한국선수단에 9번째 금메달을 안긴 뒤 “‘올림픽 출전을 양보하겠다’는 말을 한 뒤 이것만큼 비겁해지는 일은 없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부상 중이었지만 엄지손가락의 감각을 찾으려 참고 인내하며 훈련했고 최선의 마음가짐으로 경기했다”고 말했다. 고난의 상황을 딛고 보란 듯이 다시 일어선 것이 영락없는 18년 전의 박세리다.
이제 ‘인비 키즈’에 대한 기대가 나오고 있지만 상황은 그리 녹록하지 않다. 2010년을 정점으로 초등학교 골프 등록 선수는 506명에서 올해 332명으로 거의 반 토막 났다. 중학교 남학생은 50.7%, 고교 남학생은 47.3%나 줄었다. 남자만큼은 아니지만 여학생 선수의 증가세도 꺾였다. 더 심각한 것은 이 하향 곡선을 막을 방도가 당장 없다는 데 있다.
국내에서 아이들에게 골프를 가르치기는 매우 힘들다. 유소년도 어른과 같은 ‘그린피’를 내야 한다. 박인비가 어린 시절 미국 유학을 택한 것도, 은메달을 딴 리디아 고가 뉴질랜드로 이민을 떠난 것도 골프를 배우기에 보다 나은 환경을 찾기 위함이었다.
또 다른 18년 뒤에는 국내에서 배우고, 다른 나라의 지원을 굳이 받지 않아도 되는 진정한 의미의 ‘인비 키즈’를 보고 싶다.
cbk91065@seoul.co.kr
2016-09-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