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환 국제부 선임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4/17/SSI_20130417173306_O2.jpg)
![김규환 국제부 선임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4/17/SSI_20130417173306.jpg)
김규환 국제부 선임기자
중국 주식시장은 기업 경영자와 증권사, 증권 당국 등 3자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경영자에게는 상장을 앞둔 자신의 기업 주식을 우선적으로 분배받을 권리가 주어진다. 증권사는 기업에 상장 절차를 도와주고 주식 구매를 주선해 준다. 증권 당국은 상장 여부를 결정한다. 그런데 기업과 증권사가 국유기업들이다. 동종 업계 국가공무원들인 이들 3자는 가까울 수밖에 없다. 경영자는 저평가된 기업을 공개하는 덕분에 상장되면 큰 돈을 벌 기회가 생긴다. 증권사는 주식 구매를 주선해 주는 대가로 자신의 몫을 챙길 여지가 많다. 증권 당국은 상장을 원하는 기업으로부터 대가를 기대할 수 있다. 먹이사슬처럼 연결된 이들 3자 간의 폐쇄성으로 중국 증시는 불투명하고 ‘시장경제의 꽃’ 역할을 하는 데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중국 증시는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무엇보다 정보 공개와 규제 기준이 취약하다. 해외 증시에 상장하지 않고 중국 증시에만 상장된 기업에 대한 정보는 재무제표만 공개될 뿐 지배 구조나 사업 내용 등 기업 정보가 공시되는 경우는 드물다. 그 결과 상장사의 분식회계가 판을 친다. 중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분식 혐의가 짙은 기업이 상장사의 30%나 된다. 특히 증시의 규제 기준이 기업의 최대 주주인 중국 정부의 권리를 보호하는 입장에서 만들어진 까닭에 소액 주주의 보호도 미흡하다.
기업의 통제권을 유지하기 위해 중국 정부(또는 모기업)가 주식 상당 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통되는 주식이 50%에 불과하다. 유통 물량이 한정돼 있어 가격 변동 폭이 크다. 중국 A증시(내국인 전용)의 평균 주가수익비율(PER)이 80배 수준이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9배, 홍콩 증시는 13배 수준이다. PER이 높으면 거품이 끼었을 공산이 크다. 시장이 아닌 정부가 기업 통제권을 가진 탓에 상장사의 경영진을 규제하거나 기업 지배 구조를 개선할 여지도 없다. 정보 부족에다 주주의 통제권이 제한돼 있는 까닭에 기업의 펀더멘털보다 정부 정책의 변화에 민감하다. 개인 투자자의 비중이 85%를 넘어 투기 목적의 단기 차익거래가 횡행한다. 중국 증시의 폭발력을 증대시키는 요인들이다. 주식시장은 실물 경제를 비춰 주는 거울이라고 한다. 우리 경제의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나날이 높아지는 요즘 중국 증시를 눈여겨봐야 하는 이유다.
khkim@seoul.co.kr
2015-07-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