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원천 문화부 전문기자
확증은 없지만 심증은 있었다. 필경 이들은 저가의 여행상품으로 한국을 방문했을 것이다. 지상비(입장료 등 각종 여행 진행비)를 아껴야 하는 여행사로서는 궁여지책으로 무료 관람시설을 전체 일정에 한두 개 끼워 넣었을 게다. 그중 하나가 어린이박물관이었고, 그 탓에 어른들이 영문도 모른 채 어린이박물관의 전시물을 눈여겨봐야 하는 촌극이 빚어졌을 것이다. 이런 결론에 이르자 이리저리 휘둘리는 유커들이 안쓰러워졌다. 한국이 좋아 이 땅을 밟은 그들에게 손님 대접은커녕 욕을 보이는 듯해 영 마뜩잖았다. 어디 그뿐이겠나. 값싼 음식에 불편한 잠자리로 내몰리기 일쑤였을 터다.
이런 부조리를 막기 위해 중국이 1년 전부터 시행한 게 ‘여유법’이었다. 싸구려 해외 쇼핑관광으로 인한 자국민의 피해를 막기 위해 쇼핑이나 옵션 강요를 금지하고, 지상비를 정상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시행 초기엔 파장에 대한 우리 여행사들의 우려가 높았다. 실제 지난해 유커들의 방문율이 한동안 뚝 떨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곧 예년 수준을 회복했고, 올해 들어 사상 유례없는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유커들이 폭증하면서 몇몇 고질적인 문제들도 고개를 드는 모양새다. 무자격 가이드 고용, 쇼핑 강요 등 전형적인 싸구려 여행상품으로 인한 폐해들이다. 지상비를 줄이려는 중국 대형여행업체 측의 횡포도 만만찮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이와 관련해 최근 한 여행업 관계자에게 들은 이야기는 꽤 충격적이다. 유커들을 서울이 아닌 지방의 숙소로 데려가는 이유 중 하나가 쇼핑센터가 없는 곳에 묵게 하려는 꼼수라는 것이다. 유커들이 서울에서 머물 경우 시내 여러 면세점을 찾게 될 가능성이 높다. 그 결과는 가이드나 여행사가 원하는 쇼핑센터에서의 구매율 하락으로 이어진다. 그러니 낮은 지상비로 유커를 받아 쇼핑을 통해 벌충해야 하는 여행사로서는 어떻게든 이를 막으려 고육책을 쓸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런 근시안적 행위들이 불러오는 결과는 자명하다. 재방문율의 하락이다. 지난해 한국관광공사의 외래관광객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유커는 조사대상 16개국 중 최하위권인 14위에 머물렀다. 유커의 재방문율(30%)도 일본(64%) 등에 견줘 훨씬 낮다.
유커가 한국을 다시 찾지 않는다면 지금과 같은 특수는 지속될 수 없다. 정부나 관광공사 등에서 역사, 문화 등 다양한 여행의 트렌드를 앞서 제시하고 관련 인프라를 부지런히 조성해야 하는 건 분명하지만, 여행업체들도 유커들의 불만을 귀담아듣고 이를 적극 개선할 필요가 있다. 유커는 봉이 아니다. 잠깐 들러 돈만 쓰고 가는 ‘왕서방’이 아닌 관광대국으로 가는 디딤돌로 인식해야 여행업체들의 지갑도 좀 더 두툼해질 수 있다.
angler@seoul.co.kr
2014-10-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