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2020. 아이들이 살 땅을 ‘무서운 채권자’로 만들지 말자.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산불은 일상이 됐다. 작년 8월 발생한 산불로 서울의 4배가 넘는 면적이 불탔다. 언제 어디에서 불길이 덮쳐 소중한 것들을 앗아갈지 모른다. 사람들은 불안감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인류의 환경 파괴가 부메랑이 돼 문명을 파괴하고 있다.
지난 200년간 인류는 화석연료의 혜택을 듬뿍 받았다. 공장과 기계를 돌린 덕분에 산업은 발전했고 경제는 성장했다. 그 대가로 지구는 병들고 인간의 욕망이 배출한 이산화탄소는 ‘무서운 채권자’가 됐다. 전 세계 곳곳에서 발생한 재난들은 선진국과 거대 기업의 탐욕이 초래한 탄소 배출, 환경 파괴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영국 시인 존 던(1572~1631)은 ‘인간은 섬이 아니다’라는 시에서 이렇게 말한다. “누구든 그 자체로서 온전한 섬은 아니다. 모든 인간은 대륙의 한 조각이며, 전체 중 일부다.” 환경 파괴의 재앙 역시 국경과 민족을 초월한다.
기원전 600년쯤 활동한 ‘구약성서’의 예언자 하박국은 자연보호 사상을 설파했다. 그는 레바논 숲을 마구잡이로 벌목해 건축 재료로 낭비한 바빌로니아인을 질타한다. 바빌로니아인은 동물에게도 잔인했다. 사냥터로 이용하던 레바논에서 무자비한 살육을 저질러 동물들의 씨를 말렸다. 하박국은 자연을 고갈시킨 바빌로니아인을 질타하면서 숲이나 짐승 같은 자연계에도 일정한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바빌로니아는 채권자의 수를 늘리는 어리석은 채무자와 같았다. 언젠가 때가 되면 채권자들은 일제히 일어나 그에게서 마지막 한 푼까지 모두 빼앗고 만다. 우주 어디에도 도덕적 인과응보가 존재하지 않는 곳은 없다. 자연을 폭력적으로 다룰 때 그 대가는 필연적으로 가해자에게 되돌아온다는 것이다. ‘무서운 채권자’를 불러내는 ‘어리석은 채무자’가 되지 말아야 한다는 경고다.
2022-03-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