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길영 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하지만 내 경험을 돌아보면 그렇게 지리적으로 먼 서양 문화는 친숙하게 받아들이면서도 동아시아 이웃 국가에 대해서는 그다지 아는 게 없다는 걸 동아시아 교류 관련 공동연구에 참여하면서 실감했다. 그 이유를 생각하게 된다. 제도권 교육에서 이웃 나라인 중국, 일본, 우리와 비슷한 식민지 경험을 지닌 베트남, 대만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과목이나 국가관 관계를 다룬 균형 잡힌 교육 과정을 찾기 힘들다. 균형 잡힌 교육이란 매사를 자국 중심으로만 바라보는 편협한 민족주의나 국가주의를 넘어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동아시아 전체의 시야를 갖도록 해야 한다. 그럴 때 동아시아 평화체제의 실마리가 생긴다. 특히 앞으로 그 중요성이 더해질 동남아시아에 대한 무관심과 무지는 짚어볼 필요가 있다. 개인이든 집단이든 국가든 우리가 관계 맺는 상대에 대한 무지는 몰이해를 낳고 몰이해는 편협함을 낳는다. 편협한 인식에서 건강한 관계가 싹틀 수는 없다.
이웃 국가와 맺는 관계에서 문학예술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특정 국가와의 관계가 좋지 않고 대립이 날카로울수록 그 문학을 읽고 배우는 것이야말로 평화를 만들어 나가는 가장 중요한 수단 중의 하나다. 문학이란 그 문학을 배태한 사회의 내면, 그 내면 정서의 흐름을 보여 주는 거울이다. 예컨대 러시아가 침략을 계속해 억압 체제로 가면 갈수록, 자신의 내면으로부터 노예성을 척결하는 것을 그 문학의 존재 목적으로 여겼던 체호프의 작품들을 더 읽어야 하고 더 가르쳐야 한다. 그 작품 속에서는 침략과 억압의 나라가 아닌, 또 다른 러시아의 존재 가능성이 보이는 것이다.”(박노자, ‘문학인’ 2022년 가을호)
이웃 나라를 이해할 때 그 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역사 등을 아는 것은 필요하다. 나도 뒤늦게나마 중국, 일본, 대만을 공부하면서 그 나라와 한국의 관계, 공통점과 차이점을 배웠다. 그러나 거기에 더해 다른 나라를 깊이 이해하는 방도는 문학예술, 영화 등을 통해서다. 문학예술은 그것을 낳은 ‘사회의 내면, 그 내면 정서의 흐름을 보여 주는 거울’이기 때문이다. 그 거울은 이웃 나라만이 아니라 그 이웃을 대하는 우리의 모습도 비춰 준다.
2022-09-19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