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길영 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문명사는 의견을 묵살당하며 이상하다고 여겨졌던 소수자가 자신의 목소리를 들리게 만드는 과정이었다. 예컨대 민주공화국에서는 성적소수자가, 노동계급이, 유색인종이 원리적으로는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가진 몫을 찾아간 것을 들 수 있다. 당연히 장애인도 포함된다. 따져 봐야 할 건 정상과 비정상, 옳고 그름, 맞고 틀림을 나누는 기준이 얼마나 타당한가이다.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 우영우는 이상하지만, 우영우가 보기에는 다른 사람들이 이상하다. 그렇게 우리는 각자의 방식으로 조금씩 이상하다. 우영우만 이상한 게 아니다.
내가 ‘우영우’를 보면서 주목한 건 우영우라는 이상하고 비범한 캐릭터가 주는 재미도 있지만 그를 대하는 다른 사람들의 태도다. 우영우가 근무하는 로펌의 변호사들, 그를 만나는 사람들은 우영우를 대하면서 처음 가졌던 ‘이상한’ 변호사라는 편견을 조금씩 수정해 간다. 우영우도 마찬가지다. 우영우는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자폐 스펙트럼을 지니지 않은 사람들이 세상을 보는 감각, 말과 행동의 차이점을 깨닫는다. 그녀가 맺게 되는 연애 관계가 좋은 예다. 자신과 다른 존재에 대해 알고 배워 가는 과정을 드라마는 보여 준다. 드라마의 매력이다. 누구나 자신이 놓여 있는 위치에서 세상을 보고 해석한다. 엄밀히 말하면 객관성과 중립성은 불가능하다. 어느 누구도 다른 존재를, 세상을 완벽하게 알 수는 없다. 모르는 영역이 있다.
권여선 소설집 ‘아직 멀었다는 말’에서 읽었던 작가의 말이 떠오른다. “요즘 모르겠다는 말을 많이 한다. 때로 어긋나고 싶고 종종 가로지르고 싶고 옆도 뒤도 안 돌아보고 한 번은 치달리고 싶은데 못 그러니까, 깊은 모름 가파른 모름 두터운 모름까지 못 가고 어설픈 모름 속에서, 잔바람에도 진저리치며 더럽고 질긴 깃털만 떨구는 늙고 병든 새처럼. 다 떨구고 내 앙상한 모름의 뼈가 드러날 때까지 그때까지만 쓸 것인가. 모르겠다.” 내가 ‘우영우’에 등장하는 인물과 사건을 보면서 감흥을 느끼고 배우는 건 ‘깊은 모름, 가파른 모름, 두터운 모름’ 혹은 ‘어설픈 모름’의 세계다. 좋은 작품은 각자가 지닌 ‘앙상한 모름의 뼈’를 깊이 숙고하도록 우리를 이끈다.
2022-08-1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