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그들이 쓴 가면/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그들이 쓴 가면/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입력 2021-10-27 17:42
수정 2021-10-28 01: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길영 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오길영 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드라마 시리즈 ‘오징어 게임’(이하 ‘오징어’)이 장안의 화제를 넘어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는다. 나는 이 잔혹한 드라마가 왜 인기를 끄는지를 상세하게 설명할 능력은 없다. 드라마 자체가 지닌 내용과 형식의 측면에서 설명할 수도 있고, 드라마가 관객들에게 수용되고 소비되는 측면에서 다룰 수도 있겠다. 그에 대해서는 여러 분석이 나왔다. 여기서는 흥미롭게 본 쟁점을 좀더 살펴보고 싶다.

첫째, 공정성의 문제. ‘오징어’에서 가장 의아한 장면은 첫 게임인 ‘무궁화 꽃’에서 나온다. 어린이가 즐기는 놀이라는 형식과 잔혹한 내용의 부조화가 눈길을 끈다. 게임 참가자는 계약서의 둘째 조항인 “탈락”의 의미가 즉각적인 죽음이라는 걸 사전에 알지 못하고 게임을 한다. 그 결과 거의 학살이라고 할 정도로 사람들이 죽는다. 그런데 의아하게도 참가자 중 누구도 이 잘못된 계약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 세 번째 계약 조건인 “참가자의 과반수가 동의할 경우 게임을 중단할 수 있다”는 점만 상우(박해수)가 지적한다. 하지만 그 조항은 힘이 없다.

언뜻 자발적 동의를 존중하는 것처럼 보이는 계약은 ‘오징어’보다 더 지옥 같은 게임 밖 현실에서 벌어지는 살벌한 생존 게임 앞에서는 무력하다. 자본이 주인인 현실(그래서 자본주의다)에서는 돈을 소유한 자와 노동을 팔아 돈을 받는 자 사이에 맺는 계약은 불평등한 힘의 차이를 전제로 한 계약이다. 계약의 형식과 내용이 삐걱댄다. 그럴 때 표면적으로는 자발적이지만 사실은 생존의 압력이라는 강제를 통해 게임은 다시 열린다. 이 시대의 유행어가 된 공정성이 무슨 뜻인가를 드라마는 묻는다.

둘째, ‘오징어’의 설계자와 물주. 이들은 왜 이런 거액이 걸린 게임을 설계했을까. 흥미로운 건 이들이 동물 가면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일차적으로는 비인간적인 게임을 즐기는 자신들의 정체를 가리려는 의도겠지만 그게 다는 아니다. 게임 참가자들은 고대 로마 시대 격투사처럼 게임의 말로 추락한다. 더불어 동물 가면을 쓴 물주도 인간다움을 상실한 짐승으로 타락했다는 걸 나타낸다. 인간은 자신의 생존이 위협받을 정도로 물질적 빈곤, 그로 인한 정신적 불안과 근심에 빠지게 되면 인간성을 상실한다. 자신만 살려고 오랫동안 알아 온 동네 형, 잠깐이나마 정을 나눈 외국인 노동자, 살기 위해 한국으로 넘어온 탈북민을 죽여도 되는 대상으로 간주하는 짐승이 된다.

반대로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돈이 많을 때 인간은 어떻게 되는가라는 질문도 던진다. 주목할 점은 게임의 말로 죽어 가는 참가자에게 판돈을 걸고 즐기는 설계자와 물주들도 역시 짐승이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들은 왜 이 게임을 좋아할까. 게임 설계자가 설명하듯 재미있어서다. 돈이 너무 없어도 사는 게 재미없지만 돈이 지나치게 많아도 재미없다. 펑펑 돈을 쓰면 모든 것을 얻고 이룰 수 있을 듯 보이지만 그것도 곧 시들해진다. 더 큰 재미와 쾌락을 욕망한다. 정신분석학이 밝혔듯이 욕망의 끝은 없다.

‘오징어’는 돈의 힘과 한계를 드러낸다. 너무 돈이 없어도 그렇듯이 지나치게 많은 부는 그 소유자를 파괴한다. 실제로 오징어 게임을 한다고 해도 참가하겠다는 이들이 적지 않을 거라는 글도 봤다. 그렇게 ‘오징어’는 시대 현실을 정확하게 포착한다. 그렇다면 이런 현실에서 재미있는 영화를 즐기는 차원을 넘어서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은 이런 게 아닐까. 돈이 없어서 옆 사람을 제거 대상으로 보게 만드는 시스템은 정당한가. 너무 많은 돈 때문에 삶의 재미를 느끼지 못하고 뒤틀린 방식으로 쾌락을 추구하는 이들이 게임의 말로 몰락한 참가자들의 고통을 보면서 킥킥대며 즐기는 시스템은 정당한가.

이 질문을 구체적으로 따져 볼 때 아이들의 게임 형식을 빌려 이 시대의 끔찍한 징후를 포착한 ‘오징어’가 K드라마의 성취를 널리 알리는 매력적인 문화상품으로만 소비되지 않고, 드라마가 드러내는 참혹한 문제를 조금이라도 부각시키고 바꿀 수 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즐거움을 주는 매체로서 영화나 드라마의 재미는 소중하다. 하지만 영화 ‘기생충’이 그랬듯이 예리한 현실 비판을 보여 주는 작품조차 현실을 바꾸는 예술적 힘이 아니라 세계적 인기를 얻고 오락 상품으로만 소비하게 만드는 자본주의의 힘을 상기하자는 말은 덧붙이고 싶다.
2021-10-2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