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길영 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평상시에 사람은 작은 울타리 속에서 의미를 찾고 산다. 가족, 친구, 동료와 맺는 관계가 그것들이다. 그 관계들이 좋을 때 우리는 행복하고 그렇지 않으면 불행하다. 작은 울타리가 헐거울 때 우리는 쉽게 불안해진다. 오래전 한 외국 친구가 했던 질문이다. 한국인들은 낯선 이들을 마추칠 때 왜 대체로 얼굴이 굳어지는가? 우리는 왜 상대방이 나에게 건네는 부드러운 말에 부드럽게 응답하지 않는가? 우리는 의심한다. 무슨 저의가 있는 게 아닌가? 날 이용하려는 게 아닌가? 그래서 표정이 딱딱해진다. 역시 이해할 만하다. 약육강식과 적자생존의 논리가 공정의 기준으로 언급되는 시대에는 자연스러운 방어 메커니즘이다. 상대방을 딛고 일어서야만 살아남는 상황에서 부드럽고 따뜻한 말과 표정은 나오기 힘들다.
좋은 문학과 영화의 기능으로 비판과 위안을 꼽는다. 비판의 문학은 세상의 어두움과 악의를 드러낸다. 악이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포착한다. 비평가로서 나는 그런 악에 둔감한 작가는 좋은 작가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문학예술은 위안과 위로의 역할도 한다. 악이 지배하는 세상에 어떻게 여전히 선의(善意)가 남아 있고 생기 있게 움직이는지를 보여 준다. 얼마 전에 읽은 빼어난 산문집에서 그런 선의의 힘을 떠올렸다.
“그래서 막연한 배짱 같은 것을 가졌더랬다. 나 하나 건사할 길은 어떻게든 계속 열리겠지 하는. 그렇게 열어 준 것은 세상 너머로부터의 자비로운 손길이었겠지만, 이는 이 땅 위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크고 작은 호의를 경유하여 비로소 일용할 양식의 형태로 내 손에 쥐어졌다. 영화 속 소녀가 아버지 나라에 다다를 것이 설령 준비되어 있던 선물이라 할지라도, 그곳으로 가는 여정에서 지친 몸을 잠시 의자에 누이도록 해준 것은 특별히 선하거나 자비롭지 않은 한 인간이 건넨, 별것 아닌 호의였던 것처럼.”(이소영, ‘별것 아닌 선의’)
험한 시대에 사람을 살게 만드는 건 이런 “별것 아닌 호의”가 지닌 힘이다. 최근에 본 영화도 선의의 힘을 보여 준다. 소소한 일상의 의미를 드러내는 데 장기가 있는 일본 드라마와 영화 중에서 ‘빵과 스프, 고양이와 함께하기 좋은 날’, ‘카모메 식당’을 꼽을 만하다. 영화의 내용은 분명 판타지다. 영화에는 현실과는 다르게 악인이 없다. 캐릭터들은 서로 아끼고 배려하고 걱정한다. 그리고 일종의 대안적 가족과 공동체를 구성한다. 사람을 피폐하게 만드는 것도 인간이지만 사람을 다시 살게 힘을 주는 것도 역시 인간이라는 걸 영화는 보여 준다.
한국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도 그런 예다. 이 드라마 속 의사들은 현실에서 찾기 힘들다. 역시 판타지다. 하지만 우리는 판타지라는 걸 알면서도 본다. 현실에서 부재하거나 사라져 가는 것들의 가치를 드라마에서 발견하기 때문이다. 아이의 심장 이식을 기다리거나, 아이를 잃은 부모의 마음을 헤아릴 줄 아는 의료인이 적어도 그 드라마에는 있다.
아무리 잘난 사람도 세상을 자기 힘만으로 살 수는 없다. 사람답게 살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존재가 꼭 필요하다. 나희덕 산문집 ‘예술의 주름들’에서 읽은 시는 그 점을 짚는다. “저녁 무렵의 광장에서 빛나고 있다. 내가 모르는/사람들의 얼굴이. 나는 게걸스럽게 쳐다보았다./사람들의 얼굴을, 저마다 다른,/각자 뭔가를 말하고, 설득하고,/웃고, 아파하는 얼굴들을./나는 생각했다, 도시는 집을 짓는 게 아니구나,/광장이나 가로수길, 공원이나 넓은 도로를 짓는 게 아니라/등불처럼 빛나는 얼굴들을 짓는구나,/늦은 밤, 구름처럼 피어나는 불꽃 속에서 땜질을 하는/용접공의 점화기처럼 빛나는 얼굴들을.”(아담 자가예프스키, ‘얼굴’)
현실에서도 “등불처럼 빛나는 얼굴들”을 더 많이 만나길 바란다.
2021-07-1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