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름달 큰 동그라미 윤곽이 그대로 남았는데
어느새 반쪽
하현달이다
저 하늘에조차 무릎 꿇지 않으리라던
젊음
메아리쳐 오는 기척 아직 없고
의리를 지키느라 구부러진 손가락
닮은 나뭇가지가
눈을 찌른다
달은 영원한 하늘의 자손처럼 나서 자라고 또 스러지고는 한다. 그 배경의 하늘에는 달의 먼 조상들처럼 헤아릴 수 없는 별들이 아스라이 펼쳐져 있다. 그 무한 천공을 서너 뼘이 안 되는 자(尺)를 가지고 인간은 가늠해 보려고도 하지만 이내 내려놓아야만 한다.
인간은 하늘의 입장에서는 무모한 젊은이에 불과하다. 지혜가 갖추어지지 않았으므로 때로 ‘하늘’에 ‘무릎 꿇지 않’고 대들기도 한다. 거기에 ‘메아리’(응답)가 있을 리 없다. 끝내 올려다보던 눈이 ‘찔리듯’ 아플 뿐이다.
저 하늘의 무늬(天文)를 인간세에 옮겨 보면 우리가 흔하게 듣던 말 ‘민심이 천심’이라는 말에 잇닿는다. ‘민심’에 대들던 철없는 이들은 예외 없이 역사의 아궁이 속으로 던져지고 말았다. 곧 닥칠 일을 짐작 못하는 어리석음을 지금 우리는 목격하고 있다.
얼마 전 생애에 다시 만나기 어려운 월식(月蝕) 현상이 있었다. 저 우주의 드라마 앞에 인간을 되비쳐 보라는 뜻인지 모른다. ‘보름달’의 ‘윤곽’을 오래 올려다보았다.
장석남 시인
2022-11-1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