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이란에서 만났던 그때 그 아련한 눈빛을 요즘은 우리나라에서도 자주 만날 수 있다. 코로나19가 바꿔 놓은 마스크를 쓴 우리의 일상에서 말이다. 차도르 너머 그 눈들만 유독 예뻤던 게 아니라 우리 주변의 많은 사람도 서로를 설레게 만드는 그런 눈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코로나19 덕에 새롭게 발견한 우리 눈의 아름다움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억울하게도 ‘마기꾼’(마스크+사기꾼)이라고 불리고 있다고 한다. 마스크를 써서 눈만 보일 때와 마스크를 벗은 얼굴을 봤을 때 상상했던 것과는 차이가 커서 마기꾼이라는 것인데 마스크 너머 보이는 그 눈빛이 너무 기대감을 높여서 생겨난 우스갯소리일 것이다.
인류는 영장류에 속한다. 영장류는 열대 우림의 빽빽한 나무숲 속에서 진화를 시작했다. 나무와 나무 사이를 건너뛰기 위해서는 거리 조절이 중요하다. 그래서 영장류는 두 눈을 얼굴의 가운데로 몰고 일직선상에 자리잡게 해 입체적인 시각 능력을 확보했다. 입체적으로 사물을 구분할 수 있는 눈을 갖는다는 것은 숲속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영장류에게는 생존의 기본 조건이었다.
언어가 발달하지 않은 초기 인류의 의사 소통은 눈빛 교환이었다. 사냥을 위해서는 눈으로 감정을 교류하고 은밀히 의사를 전달해야만 했다. 주먹도끼를 만들기 위해서도 정확한 타격 위치를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교한 눈은 꼭 필요했다.
한편 뇌의 크기를 키우는 방향으로 진화하기 시작한 인류의 당면 과제는 커지는 뇌가 들어갈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턱의 크기를 줄이고 안으로 들이밀어 이마와 평평하게 만들어야 했다. 당연히 치아의 크기도 줄이고 가지런히 정렬도 해야 했다.
하지만 그렇게 쉽지 않았다. 생각보다 오랜 시간도 필요했다. 여기까지 얘기를 들어보면 마기꾼들을 위한 변명이 짐작될 것이다. 눈보다는 턱과 치아의 진화가 훨씬 늦게 시작됐기 때문에 아직은 완벽한 조합을 위한 진화가 진행 중이라고 변명을 해 주고 싶은 것이다.
코로나19와의 고단한 싸움을 마무리하고 서서히 일상으로 돌아가고 있다. 하루빨리 코로나19가 종식돼 마스크를 쓰던 답답한 일상은 그저 추억이 되길 바란다. 절묘한 조화를 위해 아직도 열심히 진화 중인 서로의 얼굴을 이제는 마스크를 벗어던지고 진정으로 마주하고 싶다.
2022-04-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