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인류가 남긴 많은 것 중에 일부분만이 땅에 묻힌다. 어렵게 땅에 묻혔다고 해도 고고학자에게 발견될 때까지 잘 남아 있어야만 고고학의 유물과 유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땅에 묻힌 물건들의 대부분은 썩어 없어지기 때문에 오랜 세월 제대로 남아 있기가 힘들다. 더군다나 땅은 쌓이기만 하는 게 아니라 깎여 나가기도 한다. 또 이런 과정이 계속해서 반복된다. 고고학자들이 애타게 찾는 유물과 유적이 온전히 남아 있기가 쉽지 않은 이유다. 그래서 고고학자에게 발견되는 유물과 유적은 서로에게 큰 행운이다.
고고학자들에게 항상 따라붙는 질문의 하나는 “이건 얼마나 오래된 것인가”라는 질문이다. 그래서 고고학은 달리는 열차에 시간표를 붙이는 일과 같다는 비유가 나왔을 것이다. 고고학 유물의 연대를 측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지질학의 기본 법칙 중 하나인 지층 누중의 법칙에 근거한다. 지층 누중의 법칙, 이름은 복잡한 것 같지만 매우 단순 명료하다.
지층이 역전됐다는 특별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는 한 아래에 놓인 지층이 더 오래된 지층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아래쪽에서 나온 유물은 위쪽에서 나온 유물보다는 오래된 것이다. 이런 원리로 땅을 파서 나오는 유물들을 순서대로 쭉 늘어놓으면 유물의 상대적인 연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동아시아 최초로 아슐리안 주먹도끼가 발견된 경기도 연천의 전곡리 구석기 유적에서 마치 시루떡처럼 켜켜이 쌓인 토층을 발굴하면서 참으로 신비롭다는 생각을 하곤 했다. 사람의 모든 유전정보가 DNA에 새겨져 있듯이 전곡리 구석기 유적의 토층에는 수십만 년에 걸친 구석기 유적의 형성 과정이 오롯이 기록돼 있었다.
현무암이 흘러내린 전곡의 용암대지 위에 한때는 강이 모래를 실어와 쌓아 놓고 갔고 또 아주 오랫동안은 바람에 먼지가 날려와 쌓였다. 색깔을 달리하는 층위 변화를 통해서는 추위와 더위가 번갈아 가며 찾아왔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전곡리 구석기 유적 발굴에서 차곡차곡 쌓인 토층과 마주하며 주먹도끼가 들려주는 오래된 시간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던 기억이 지금도 새롭다.
매일매일 쏟아지는 수많은 뉴스는 스트레스 유발자가 된 지 이미 오래고, 코로나19는 여전히 우리를 괴롭히고 있다. 요즘은 미세먼지까지 한몫 거들고 있어 답답한 나날이 계속되고 있다.
그래도 한 번쯤은 지금 딛고 있는 내 발 밑에 쌓여 있는 오래된 시간의 이야기들에 귀를 기울여 보자. 앞으로 우리의 시간이 계속 쌓여 가겠지 하고 조금 오버하면서 감동도 해 보자. 내일은 내일의 태양이 뜨고 내일의 바람이 분다. 우리에게는 희망이 있지 않은가.
2021-11-2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