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택규 번역가
“어제 리버풀과 레알 마드리드의 축구 결승전이 있었잖아. 리버풀이 져서 흥분한 사람들이 소리 지르고, 패싸움을 하고 난리가 아니었어. 게다가….” 딸아이는 차마 말을 못 이었다. “노상 방뇨까지 하더라고. 그것도 남녀 구분 없이.”
영국에 간 지 반년밖에 안 된 딸아이에게 그 광경은 충격 그 자체였다.
“아빠, 영국은 선진국이잖아.”
선진국이지. 올해 명목 국내총생산(GDP) 세계 5위에 근대 민주주의 제도와 록 음악의 발상지니까. 하지만 네가 말하는 선진국의 기준은 공중질서와 위생 관념이겠지? 돌아보면 구한말 조선에 온 서양인들이 우리를 깔봤던 가장 큰 이유도 공중질서와 위생 관념의 부재였다. 그런데 백수십 년 만에 내 딸아이가 영국에 건너가 똑같은 기준으로 서양 사회의 ‘후진성’을 확인했으니 이보다 더 통렬한 복수가 있을까.
하지만 지금도 공중질서가 선진국인지 아닌지를 가늠하는 기준인지는 잘 모르겠다. 중국 상하이는 코로나 확산으로 지난 두 달간 전면 봉쇄됐다. 2400만명의 시민들은 그간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서도 정부의 방침을 충실히 따랐다.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공개 비판하거나 봉쇄 구역을 집단 이탈한 일이 거의 없었다. 자, 이처럼 공중질서를 잘 지킨 중국은 과연 선진국일까? 세계 어느 나라보다 위생에 철두철미한 일본에 대해서도 똑같은 질문을 해봐야겠다. 청소 미화원 없이도 전국의 골목골목이 다 청결하지만, 그렇다고 그게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막아 주지는 못했다. 올해 1인당 명목 GDP가 세계 24위까지 추락한 일본은 “이제 누구나 풍요함을 향유하는 나라도, 세계의 첨단을 걷는 나라도 아니다. 실패와 일탈을 거듭하는, 불안과 과제로 가득 찬 나라인 것이다.”(요시미 순야 저, 서의동 역, ‘헤이세이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AK, 2020)
이번에 딸아이는 영국에 대해 톡톡히 실망한 듯하다. 하지만 나는 역시 딸아이에게서 다른 에피소드를 들은 후로 영국은 역시 선진국이라는 믿음이 더 커졌다. 몇 달 전 딸아이의 동기가 수업 후 기숙사 근처까지 그 수업의 강사에게 뒤를 밟혔다고 한다. 아직 별일은 없었지만 그녀는 학교에 그 일을 신고했다. 그런데 놀랍게도 학교는 바로 다음날 담당 부서를 동원해 사실 여부를 확인한 뒤, 며칠 만에 그 강사를 해고했다. 10년 넘게 근속한 강사였는데도 일말의 동정조차 없었다. 만약 우리 대학 같았으면 어땠을까? 적어도 이 부분에서는 선진국이 되기까지 우리는 아직 멀었다.
2022-06-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