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민수 한국 이집트학 연구소장
문장 자체는 무덤덤했지만 그가 글씨를 쓴 방식은 그렇지 않았다. 그는 평소와 다르게 일기장의 줄에 맞춰서 글씨를 쓰지 않고 대각선 방향으로 썼다. 오랜 노력 끝에 얻은 결실에 카터는 흥분을 감추지 못했던 것 같다. 그가 발견한 무덤은 바로 투탕카멘의 무덤이었다.
하워드 카터의 1922년 11월 4일 일기.
투탕카멘 무덤 발굴은 역사상 가장 중요한 고고학적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널리 알려진 것과 달리 투탕카멘 무덤은 도굴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된 유일한 왕묘는 아니다. 1939년 피에르 몽테가 타니스에서 발굴한 21, 22왕조 시대의 왕묘들도 도굴되지 않은 채 발견됐다. 그러나 이 무덤들의 보존 상태, 유물의 양과 질은 투탕카멘 무덤과는 비교할 바가 못 된다.
투탕카멘 무덤 발굴은 학술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 이 무덤을 통해 후대 파라오들의 의도적 파괴로 그 흔적이 상당수 사라져 버린 아마르나 시대의 전모를 보다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또한 그동안 그림이나 문헌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파악할 수 있었던 파라오들의 부를 실제 유물들을 통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여기에 더해 투탕카멘 무덤 발굴은 고대 이집트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크게 증폭시키기도 했다. 당시 발전하고 있던 매스미디어를 통해 발굴 소식이 사진과 함께 재빠르게 서구 시민사회에 전해졌기 때문이다. 이때 형성된 고대 이집트에 대한 뜨거운 대중적 관심은 이집트학이 하나의 학문 분과로 존재할 수 있게 해 준 든든한 사회적 바탕이 됐다.
2022-11-0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