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민수 이집트 고고학자
그런데 널리 쓰이고 있는 조세르라는 이름은 후대의 기록에서만 발견될 뿐이고 조세르 당대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이 파라오의 실제 이름은 ‘신성한 몸’이라는 뜻을 가진 ‘네체르케트’였고, 조세르가 남긴 여러 기념물들에는 모두 다 이 이름이 쓰여져 있다. 오늘날에 더 널리 쓰이는 조세르라는 이름이 ‘고결한 자’라는 뜻인 것을 감안하면, 이것은 네체르케트를 부르던 일종의 별칭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사카라에 있는 조세르의 계단식 피라미드.
이때 역사 속에서 확인되는 또 한 사람의 중요한 인물이 바로 임호테프다. 고대 이집트를 소재로 해 만들어진 영화 ‘미이라’에서는 이 이름을 가진 캐릭터가 어쩐지 복수심에 불타는 탐욕적인 악당으로 그려졌지만, 그는 실제로는 존경받는 대신관이자 유능한 총리였고, 조세르 피라미드의 설계자였다. 고대 이집트인들에게는 현자의 전형으로 여겨졌던 이 인물은 결국 후대에 가서는 신격화해 숭배의 대상이 됐다. 임호테프를 묘사한 자그마한 조상들은 현재도 상당히 많은 숫자가 남겨져 있어 여러 박물관에서 쉽게 만나볼 수 있는데, 그것들은 대부분 말기 시대와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에 일종의 부적으로 만들어졌던 것이다.
조세르가 갑자기 피라미드를 무덤으로 짓기 시작한 정확한 동기는 알 수 없다. 그저 높게 쌓여져 있는 피라미드가 갖고 있는 형태적 특성과 죽은 왕을 하늘에 있는 별이나 태양 등과 연관 지어서 이야기한 후대의 문헌들을 근거로 하늘로 오르고자 하는 파라오의 욕망이 물리적으로 표현된 것이라 짐작할 뿐이다. 사실 계단식 피라미드는 처음부터 피라미드로 설계되지도 않았다. 피라미드 내부를 조사한 학자들은, 적어도 5차례 정도의 증축 과정을 거쳐서 오늘날에 볼 수 있는 6단 피라미드의 모습으로 완성된 것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애초에는 피라미드 건설이 시작되기 이전 초기 왕조 시대 동안에 왕묘로 사용되던 무덤의 형식인 마스타바로 설계돼 지어지기 시작한 무덤이 초창기 단계에서 측면부가 먼저 확장됐고, 그러다가 마스타바를 몇 층으로 쌓아올린 4단의 계단식 피라미드로 변화했다가, 다시 그 규모가 커져 결국에는 6단의 피라미드로 완성된 것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이 과정에서 파라오를 둘러싼 궁정 내에서 아주 다이내믹한 토론과 논쟁, 그리고 단호한 이데올로기적 선택과 건축적 결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최초의 피라미드는 ‘세계 최초의 석재 건축물’이라는 타이틀도 갖고 있다. 이전 시대에도 건축물의 일부에 석재가 사용된 예는 있지만 건축물 전체가, 그것도 상당히 거대한 규모로 오로지 석재만을 가지고 만들어진 것은 이 피라미드가 최초다. 이집트의 석공들은 이 시점에서부터 돌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게 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 기술력이 이후 고왕국 시대 동안 엄청난 규모의 피라미드들이 지어질 수 있었던 기술적 배경이 됐던 것은 물론이다. 바야흐로 피라미드 시대의 막이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것이다.
2021-10-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