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국론 통합한 파라오 카세켐위/이집트 고고학자

[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국론 통합한 파라오 카세켐위/이집트 고고학자

입력 2021-09-06 17:32
수정 2021-09-07 01: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곽민수 이집트 고고학자
곽민수 이집트 고고학자
파라오들의 이름은 항상 특별한 틀 안에 쓰여진다. 그렇기 때문에 그 틀의 모양만 기억하면 비록 글자를 읽어 내려가지는 못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파라오의 이름임을 간단하게 알아차릴 수 있다. 실제로 1822년 최초로 이집트 문자 해독에 성공한 샹폴리옹도 특별한 틀 안에 쓰인 단어가 파라오의 이름임을 가정하는 것에서부터 성공적인 해독을 향한 첫걸음을 내디딜 수 있었다.

파라오의 이름을 담는 틀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다. 그 가운데 더 널리 알려진 것은 ‘카르투슈’라고 불리는 틀이다. 밧줄로 만들어진 타원형 모양의 이 틀은 고왕국 3왕조시대 말부터 등장하는데, 이후로도 계속해서 쓰여 고대 이집트 문명이 끝나는 순간까지 사용됐다.

카르투슈보다 먼저 사용되기 시작한 또 다른 틀이 있다. 바로 ‘세레크’라고 불리는 사각형 모양의 틀이다. 세레크는 카르투슈보다 앞서 초기 왕조 시대부터 사용됐다. 이후 카르투슈가 사용되기 시작하면서부터는 ‘호루스의 이름’이라고 불리는 파라오 제3의 이름을 쓰는 용도로 사용됐다.

사각형 모양의 세레크는 가운데 부분에 파라오의 이름이 쓰여지고, 그 아래쪽에 주로 세로로 홈을 낸 특이한 문양이 새겨진다. 이 부분은 ‘왕궁 정면 문양’이라고 불린다. 벽면을 요철 형태로 만든 중요한 건물의 정면을 추상화해 그린 것이다. 이 ‘왕궁 정면 문양’은 파라오와 왕실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됐다. 그리고 세레크의 상단부에는 이름이 쓰여진 파라오의 종교적, 정치적 배경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동물의 형상이 자리잡고 있다. 이 동물은 거의 항상 파라오의 수호신인 호루스를 나타내는 매였다.
이미지 확대
파라오 카세켐위의 석상. 영국 옥스퍼드 아슈몰리안박물관 소장.
파라오 카세켐위의 석상. 영국 옥스퍼드 아슈몰리안박물관 소장.
그런데 적어도 한 차례는 신화적으로 볼 때 호루스의 적수라 할 수 있는 세트 신을 상징하는 네발 동물이 그려진 적도 있다. 2왕조 시대의 파라오인 페립센(기원전 2750년경)이 그러했다. 페립센의 바로 다음 파라오인 카세켐위 시대(기원전 2700년경)가 되면 더 흥미로운 현상이 나타난다. 카세켐위의 세레크에는 호루스와 세트를 상징하는 두 동물이 동시에 그려졌던 것이다.

이집트는 카세켐위 재위 시절보다 400년 정도 전에 이미 통일이 됐다. 그러나 중앙집권화의 정도가 아주 높지는 않았고, ‘파라오=호루스’와 같은 이데올로기적 체계도 당시에는 완성되지 않았던 것 같다. 요컨대 호루스가 세트에게 승리하는 신화는 후대에 만들어진 것이고, 카세켐위 당대에는 호루스 지지자들과 세트 지지자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권력 다툼이 일어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 갈등 속에서 호루스 지지자들이 주로 주도권을 잡았고, 세트 지지자들은 일종의 야당으로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1, 2왕조 시대 파라오들의 세레크에 주로 매가 그려졌던 것은 바로 그 때문일 것이다. 그러다가 페립센 시대가 되면 세트 지지자들이 정권 교체를 이뤄 냈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그 과정에서 두 진영 사이에 심각한 반목이 발생했으리라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카세켐위는 이 반목을 조정하는 데 성공했고, 그의 세레크에 두 동물이 모두 다 그려진 것은 바로 그 결과인 것으로 여겨진다.

카세켐위라는 이름을 통해 이 추론의 설득력을 조금 더 높일 수 있다. 그의 이름은 대략 ‘카+세켐+위’ 정도로 풀어서 쓸 수 있는데, ‘카’는 ‘나타나다’라는 의미의 동사이고, ‘세켐’은 ‘힘, 권력’ 정도의 의미를 갖는 명사다. 그리고 ‘위’는 고대 이집트어에서 사용되는 쌍수형 어미다. 즉 카세켐위는 ‘두 힘이 나타나다’ 정도로 번역할 수 있고, 맥락에 따라서는 ‘두 권력자가 나타나다’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이름은 그냥 ‘힘이 나타나다’라는 뜻의 ‘카세켐’이라는 이름에서 한 번 바뀐 것이다. 카세켐위가 두 세력에 대해 파라오가 완전한 권위를 갖게끔 만들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현대의 학자들은 카세켐위 이후의 시기부터를 ‘고왕국’이라 부르며 ‘초기왕조’ 시대와 구분한다. 그리고 이때를 기점으로 이집트에서는 피라미드가 지어지기 시작한다. 최초의 피라미드를 지은 것은 다름 아닌 카세켐위의 왕위를 이어받은 조세르였다.
2021-09-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