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3400년 전 이집트의 도시와 주거지

[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3400년 전 이집트의 도시와 주거지

입력 2021-04-19 17:14
수정 2021-04-20 02: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곽민수 이집트 고고학자
곽민수 이집트 고고학자
지난 8일 이집트에서 새로운 발굴 소식이 왔다. 이집트 발굴팀이 룩소르 서안에서 신왕국 18왕조 아멘호테프 3세 시대(기원전 1390~1352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도시 유적을 발견했다는 소식이었다. 발굴단을 이끌던 자히 하와스 박사는 몇 달 전부터 룩소르에서 놀라운 발굴이 이뤄지고 있고, 그에 대한 공식 발표가 곧 있을 것이라고 뜸을 들여 왔다. 그의 예고대로 새롭게 알려진 유적 발굴 소식은 굉장한 것이었다. 다만 하와스가 발굴 성과에 대해 설명하며 “많은 외국팀이 이 도시를 찾으려고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고 한 주장은 다소 과장된 것이다.

이번 발굴 과정에서 드러난 유구들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파형(波形)으로 만들어진 벽체다. 그런데 그것과 거의 똑같은 형태의 벽체가 이번 발굴 현장에서 150m가량 떨어진 장소에서 이미 1930년대에 프랑스 팀에 의해 확인됐다. 이 두 지점은 동일한 층위에 있는 것으로 보이는 만큼 같은 취락에 속하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즉 이번 이집트 팀의 발굴은 완전히 새로운 성과라기보다는 1930년대 조사를 토대로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와스의 말은 일종의 ‘선전용 멘트’였던 셈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번 발굴의 중요성은 전혀 떨어지지 않는다. 이집트 학자들은 이 도시 유적 발굴에 대해 1922년에 있었던 투탕카멘 무덤 발굴과 견줄 수 있는 성과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이런 평가만큼은 결코 과장이 아니다.

이집트에는 훌륭하고 놀라운 유적들이 많다. 피라미드도 그렇고, 왕들의 계곡에서 만날 수 있는 왕묘들이나 룩소르 신전, 카르나크 신전, 그리고 여러 파라오의 장례신전 같은 신전들이 대표적인 예다. 그렇지만 이 유적들은 대부분 무덤이나 신전이다. 요컨대 고대 이집트인들의 일상생활과는 다소 분리된 유적들이라 할 수 있다. 물론 파라오의 무덤을 만드는 장인들이 모여 살던 마을 유적인 데이르엘메디나나 아케나텐이 잠시 천도했었던 아마르나의 도시 유적, 그리고 센우스레트 2세 피라미드를 관리하던 사람들이 거주했던 카훈 유적 등과 같은 주거지 유적도 있기는 하다.
이미지 확대
룩소르 서안에서 새롭게 발굴된 도시 유적의 전경.
룩소르 서안에서 새롭게 발굴된 도시 유적의 전경.
그런데 이 유적들은 대부분 보통의 이집트인들이 살아가던 곳이 아니라 특별한 신분의 사람들이 살았거나, 아니면 임시로 지냈던 아주 특수한 주거지였다. 보통 사람들이 살던 일반적인 주거지 유적은 이집트에서 잘 확인되지 않는데, 여기에는 대략 세 가지 정도의 이유가 있다.

첫째, 이집트인들은 신전이나 무덤을 만드는 것보다 주거지를 만드는 데 훨씬 덜 공을 들였다. 전자에는 내구성이 매우 높은 석재가 주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후자는 대체로 진흙 벽돌로 만들어졌다. 파라오가 살던 궁전들도 대체로 다 진흙 벽돌로 만들어졌을 정도다. 진흙 벽돌은 돌보다 훨씬 쉽게 부서지는 만큼 주거지가 오래도록 잘 보존될 가능성은 처음부터 매우 낮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신전과 무덤은 나일강의 범람원에서 꽤 떨어진 곳에 주로 만들어진 데 반해 사람들은 물리적인 이유로 범람원에 최대한 붙어서 살 수밖에 없었는데, 결과적으로 고대 이집트인들의 주거지는 매년 정기적으로 일어났던 범람에 지속적으로 손상됐다. 거기에 더해 고대 이후 지금까지도 쭉 이집트 땅에 살던 사람들이 계속해서 범람원 인근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고대 주거지들이 흔적조차 없이 사라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셋째, 본격적으로 학술적인 고고학 조사가 이집트에서 시작된 이래 학자들은 주로 신전과 무덤에만 집중을 했다. 그것은 신전과 무덤이 그 규모도 굉장할뿐더러 화려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쉽게 눈에 띄었고, 유적의 숫자 자체도 상당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집트 고고학에서 주거지는 상대적으로 덜 다뤄지는 대상이 됐다.

그런 측면에서 이번에 룩소르 서안에서 새롭게 발견된 주거지 유적은 상당히 큰 의미를 갖는다. 계속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고대 이집트인들의 보편적인 일상에 대해 더 자세하고 정확한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되리라 여겨진다.
2021-04-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