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주 무용평론가
‘호두까기인형’이 처음 세상에 나온 건 130년 전인 1892년이다. 프랑스 태생 안무가 마리우스 프티파(1818~1910)가 일찍이 러시아로 건너가 이미 50여편에 가까운 발레 작품을 만들었고, 러시아 발레의 기틀을 마련한 후였다. 우리가 발레 작품이라고 하면 제일 먼저 떠올리는 ‘백조의 호수’, ‘잠자는 숲속의 미녀’를 만들어 ‘고전 발레의 아버지’라는 명성을 얻은 프티파가 말년에 노력과 정성을 다해 내놓았으니 대성공작이 될 게 당연했겠지만, 사실은 그렇게 완성도가 높은 작품은 아니다. 화려한 크리스마스 분위기와 순수한 동심의 세계를 담긴 했으나, 인물 성격이나 극적인 줄거리가 빈약하기 때문이다.
크리스마스이브. 소녀 클라라는 대부로부터 호두까기인형을 선물받는다. 남동생이 인형을 망가뜨리지만 다행히 고쳐서 끌어안고 잠이 든다. 꿈속에서 호두까기인형은 왕자로 변하고 클라라와 함께 환상의 세계로 여행을 한다는 얘기다. 이렇게 단순한 줄거리임에도 불구하고 세기를 넘어 끊임없는 사랑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호두까기인형은 본래 호두 껍데기를 눌러 깨는 성탄절 선물용 목제 인형이다. 사실 우리는 서양에 비해 그리 흔하게 사용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이름만큼은 익숙하다. 발레 덕분이다. 외환위기 당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에서 오도 가도 못 하는 한국 상황을 빗대어 ‘호두 까는 도구에 끼인 호두’라고 불린 슬픈 기억도 있다.
언젠가 ‘황금알 낳는 호두까기인형’이라는 칼럼을 쓴 적이 있다. 경영난에 시달리는 무용단들이 그래도 연말에 최대의 수입원인 이 작품을 올려 적자를 면하기 때문이다. 초연 이후 오랫동안 묻혀 있다가 안무가 바실리 바이노넨이 재해석작을 발표하면서 빛을 보게 됐고, 무용계 블루오션의 대명사가 된 작품. 지금은 이솝우화에 나오는 ‘황금알 낳는 거위’에 비유하기에 손색이 없다.
초연 때 실패한 원인이 단순한 줄거리 때문이었다면 오히려 그 단순함 덕에 어린이 관객이 쉽게 작품 속으로 빠져들 수 있다는 역설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지금은 유일한 성탄절 배경 고전 발레 작품으로 온 가족의 사랑을 받는 복덩이가 됐다.
명작으로서 긴 생명력을 유지하게 된 데는 무엇보다 서정적이면서 웅장한 차이콥스키 음악의 힘이 크다. 동화적으로 발랄함이 충만한 도입부와 눈 내리는 풍경을 합창곡으로 풀어낸 ‘눈송이 왈츠’, 환상의 세계를 여행하는 디베르티스망 곡들은 한 해의 고충과 어려움, 마음의 상처를 위로하고 위로받기에 적합한 아름다운 음악이다. 차이콥스키가 파리의 악기점에서 어렵게 구한 청아한 소리의 첼레스타 악기를 ‘사탕요정의 춤’ 음악에 처음으로 사용했다는 일화에서 보듯이 작곡가의 재능과 정성이 담겨 세월을 거듭할수록 진가를 인정받고 있다.
10여개의 다양한 고전발레 버전과 현대적 재해석작을 포함해 전 세계 700여개 무용단에서 매년 호두까기인형을 올린다고 한다. 코로나 상황이라 그 수는 많이 줄었겠지만, 올해도 많은 공연이 열린다. 우리나라에서도 2년 만에 반가운 무대가 펼쳐진다. 국립발레단과 유니버설발레단이 각각 볼쇼이버전과 마린스키버전을, 광주시립발레단은 웃음을 가미한 버전을 올린다. 모두 웅장함과 화려함을 장기로 내놓고 있으니 팬데믹으로 지친 일상과 고된 날들을 보상받기 위해서라도 가족 발레 호두까기인형을 만나 보길 권한다. 공연장을 찾기 어렵다면 영상으로라도 즐겨 봄이 어떨까. 온 가족이 함께 심리적 면역을 높이는 데 가장 좋은 묘약이 될 것이다.
2021-12-1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