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혜 작가
생각해 보니 정말로 그러하다. 아이에게 게임도, TV도, 친구와 노는 것도 적당한 수준에서 참을 줄 알아야 한다고 가르쳐 왔지만 어디 그게 쉬운 일이던가. 어른인 나 또한 일해야 하는데 딴청을 피우거나, 운동해야 하는데 그냥 넘어가거나, 집안일 및 여타의 대소사 등에 대해 해야 한다는 걸 알면서도 귀찮아 미룬 적이 얼마나 많았던가. 그러면서 술은 마시지 말자고, SNS는 적당히만 하자고, 휴대전화 게임에 시간을 낭비하지 말자고, 그렇게 다짐하면서도 금세 무너진 경우는 또 얼마나 많았던가. 어른인 내게도 어려운 절제와 자제가 열 살짜리 아이에게 쉬울 리 없다. 애초에 어른인 내가 게임기를 더 잘 관리했더라면 아이가 유혹에 빠지는 일도 없었을 것이다.
요즘 많은 사람이 ‘자유’를 부르짖는다. 무한 자유를 강조하면서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은 개인이 오롯이 질 것을 요구한다. “누가 칼 들고 협박이라도 했느냐”는 말이 유행어가 될 정도다. 그러나 인간의 자유의지에는 어디까지나 한계가 존재한다. 어린아이 곁에 날카롭고 뜨거운 물건을 둬 아이가 다쳤을 때 그것을 날카롭고 뜨거운 물건을 만진 어린아이의 잘못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다. 물론 성인은 어린아이가 아니다. 그러나 공동체적 관점에서 볼 때는 성인 역시 인간으로서의 한계를 지닌다는 점에서 한 명의 아이와 다름없다.
최근 일어난 비극적인 사건 앞에서 국가를 비롯한 여러 공동체의 대표가 무책임한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비극에 안타까움을 표하면서도 모든 참사를 ‘불행’ 혹은 ‘개인의 부주의 탓’으로 돌린다. 앞으로는 ‘각자 더 조심할 것’을 당부한다. 그러나 모든 책임을 개인이 져야 한다면 공동체나 사회가 존재하는 의미가 없을 것이다. 더 나아가 그곳을 대표하는 인물들 또한 불필요할 것이다. 제각각 한계를 지닌, 흠결이 많고 부족한 사람들이 어울려 살아도 문제가 없도록 조정하고 보호하는 것이 공동체와 사회의 역할이다. 그것이 제대로 굴러가도록 하는 게 국가와 대통령이 존재하는 이유다.
2022-11-29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