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준 작가
모두가 가난하던 시절엔 대학을 가는 사람이 소수였다. 대학 진학률이 10%를 넘긴 것은 1980년의 일이었고 돈이 없었기에 같은 성적이더라도 집안에 돈이 없다면 서울의 사립대보다 지방의 국립대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게 당시의 일반적인 풍경이었다. 게다가 과거엔 대입 응시지역을 제한했기에 성적에 맞춰 아무 대학이나 지원하는 게 불가능했다. 하지만 1982년부터 응시지역 제한제도가 폐지되고 국민소득이 증가하고 중산층이 성장하면서 등록금 부담 능력이 높아졌다. 과거 국립대가 가지고 있던 저렴한 등록금이란 압도적인 혜택이 점점 바래기 시작한 것이다. 이때부터 대학생들의 서울 진출이 본격화되기 시작했고 지방대는 점점 그 위상을 잃어 갔다.
더욱이 결정적인 부분은 지방에 일자리가 없는 것이었다. 그래도 2000년대 초반까지는 지방의 대도시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은 자신의 고향에 뿌리를 내리고 살아갈 생각을 하고 있기에 대학 또한 지방 대도시로 진학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지방의 일자리가 사라지기 시작하고 일자리를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되자 지방대 진학이 가진 이점은 더이상 존재할 수가 없었다.
지방대가 옛 위상을 지키지 못하고 무너지는 데는 경제, 역사, 제도, 산업이 모두 영향을 미쳤다. 이 때문에 단순히 서울권의 대학을 지방으로 내려보내는 것으로는 지방대의 몰락이란 현상을 막을 수 없다. 그간의 역사에서 알 수 있듯이 서울권의 명문 대학이라도 지방으로 내려보내는 순간 더이상 명문이 아니라 그저 또 하나의 지방대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에 서울로의 집중을 제어하기 위해 대학들을 지방으로 내려보낸다는 아이디어도 통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지방에서 나고 자란 입장에서 참으로 안타까운 현상이지만 한편으로는 왜 학생들이 서울권의 대학을 선호하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서울권 대학의 상향 현상은 학생들이 서울에서 학교를 다니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학생들에게 다른 대안을 제공한 적이 없다. 대안을 제공하지도 못한 상황에서 지방대의 위기를 이야기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지방대는 그렇게 몰락 중이다.
2022-11-1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