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혜 작가
하지만 1962년에 만들어진 이 영화를 오늘날 다시 개봉한다면 여러모로 논란이 될 것이다. 툭 튀어나온 앞니와 치켜올라간 두 눈, 촌스러운 헤어스타일에서부터 문법에 맞지 않는 이상한 액센트의 영어, 사회성이 없고 융통성이 부족한 사고방식을 드러내는 행동에 이르기까지. 유니오시의 캐릭터는 과거 서양인이 생각하던 동양인의 스테레오타입을 그대로 담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잣대로 옛 영화를 새삼 꼬집으려는 건 아니다. 다만 고전 문학이나 영상 작품에서 유니오시처럼 무신경하게 다루어지는 동양인 캐릭터를 마주하다 보면, 분위기가 얼마나 달라졌는지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유니오시 같은 인물이 웃음코드로 사용되고 그에 대해 아무도 불만을 제기하지 않던 시절이라면, 동양인이 미국 방송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을 수상하는 요즘의 상황을 상상이나 할 수 있었을까. 한편으로는 이러한 변화에 대해 안심하는 마음도 생긴다. 동양인인 내가 살아가기에 유니오시 같은 동양인 캐릭터만 존재하는 세상과, 다양하고 입체적인 동양인 캐릭터가 존재하는 세상은 사뭇 다를 것이므로.
근래 여러 비판에 직면하고 있음에도, 나는 그런 측면에서 정치적 올바름에는 긍정 효과가 훨씬 크다고 생각한다. 많은 이들이 정치적 올바름이 예술을 망치고 작품의 재미를 떨어뜨린다고 불평을 늘어놓는다. 정치적 올바름을 추구하다 보면 인종과 성별, 연령 등 고려해야 하는 요소가 많고, 표현에 제약이 생기면서 전체적으로 작품성이나 재미가 훼손된다는 것이다. 얼마 전에는 영화 ‘인어공주’가 실사화 과정에서 주인공 인어 역할에 흑인 배우를 기용했다는 이유로 거센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유니오시의 사례와 같이 정치적 올바름은 상상력을 제한하기보다는 그 반대 역할을 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오히려 기존의 통념이나 고정관념을 뛰어넘는 방향으로 사고를 확장시키는 것이다. ‘동양인 스테레오타입’에 대한 비판이 없었더라면, 동양인 캐릭터로 유니오시와 유사한 인물만이 계속 만들어졌을 것이고, 그랬더라면 지금처럼 동양인을 다루는 다양한 작품들은 태어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표현의 자유를 두고 불평하는 이들에게 말해 주고 싶다. 우리에게는 상상력이 있다고 말이다.
2022-10-2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