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준 작가
최근 대형마트에서 다시금 저가의 치킨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번에도 소비자들의 반응은 매우 열광적이어서 마트에서 치킨이 금방 동날 정도다. 하지만 이에 대한 사회적인 반응은 10년 전과 비교하면 매우 조용한 수준이다. 10년 전에 온 뉴스를 도배하고 토론 프로그램에서 찬반 논쟁이 벌어지고 정부기관에서 예의주시할 정도였던 걸 생각하면 이번엔 사실상 사회적인 이슈는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10년 전과 달리 이제 대형마트와 소상공인의 대립구도가 아니기 때문이라 이야기한다. 난센스다. 애초에 프랜차이즈의 가맹점주들도 다 소상공인이다. 10년 전에는 프랜차이즈 본사들이 가맹점주들을 앞세워 통큰치킨에 대한 반대 여론을 조성하는 데 나섰다. 하지만 이제는 더이상 그러한 구도가 형성되지 않고 있다. 진짜 이유는 소비자들의 인식이 변화한 탓이다.
더이상 소비자들은 경제 이슈에서 강자와 약자의 구도를 원하지 않는다. 지난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소비시장을 대하는 정부의 태도는 강자로부터 약자를 보호한다는 입장이었고 이를 바탕으로 경쟁을 제한하는 많은 시장규제들을 쏟아냈다. 문제는 약자를 보호한다는 명분 아래 소비자들이 배제돼 온 것이다. 소비자의 후생은 생산자 간의 경쟁을 통해 발생한다. 약자 보호란 명분 아래 경쟁을 제한한 결과 소비자들은 더 저렴하게 상품을 소비할 기회를 상실했고 더 좋은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했다. 이런 식으로 소비자가 누렸어야 할 후생을 강제로 빼앗겼고 이것이 장기간 불만으로 쌓여 온 것이다.
택시업계와 차량공유서비스 간의 분쟁에서 알 수 있듯이 소비자의 시선은 더이상 경쟁력 낮은 사업가들에게 관대하지 않다. 특히나 경쟁력 낮은 사업가들에 대한 보호가 소비자의 후생을 빼앗는 방식으로 이뤄진다면 더욱 예민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지금은 인플레이션의 시대다. 인플레이션이 낮았을 때도 소비자들은 후생 감소로 인한 불만이 높았던 상황이다. 인플레이션이 소비자들의 구매력을 빼앗는 상황에선 인내심을 유지하기 어렵다. 대형마트에 대한 강제 휴무 및 기타 규제에 대한 해제를 고려하고 있다는 기사가 떴을 때 소비자들이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했던 이유도 그 때문이다. 소비자들의 후생을 빼앗는 정책을 더이상 추진해서는 곤란하다. 이제는 소비자를 중심으로 생각해야 할 시점이다.
2022-08-02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