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혜 작가
그러나 이까짓 빵 하나 사려고 이 고생을 하느냐는 속마음을 그대로 드러낼 수는 없다. 누구는 아빠가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웃돈을 내고 사 줬더라, 또 누구는 할머니가 대형마트에 개점 전부터 줄을 서서 구해 왔더라며 울상을 짓는 아이들을 보면 다른 말을 하기 어렵다. 4~5배까지 잔뜩 붙은 프리미엄을 주고 사 오는 것은 아무래도 아닌 것 같고, 새벽부터 줄을 서는 것 또한 쉽지 않으니 결국 남은 선택은 빵이 들어오는 시간에 맞춰 저녁마다 편의점을 순회하는 것뿐이다.
이처럼 애를 써도 포켓몬 빵 구하기는 하늘의 별 따기다. 편의점마다 아주 조금 들어오는데 직원들조차 미리 수량을 알지 못한다. 이 말은 줄을 서 기다린들 구매를 보장할 수 없다는 뜻이다. 언젠가는 한 시간 넘게 줄을 섰으나 그날따라 빵이 한 개밖에 들어오지 않아 쓸쓸히 돌아서기도 했다. 딱 하나 입고된 제품은 우리와 동시에 도착했으나 한발 빠르게 줄을 선 사람의 차지. 뒤늦게 다른 편의점을 돌아봤지만 이미 모조리 팔린 뒤였다.
이 때문일까. 얼마 전부터 집 근처의 한 편의점은 아예 새로운 방식으로 빵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줄 선 사람들끼리 가위바위보 시합을 하도록 해 우승자에게 빵을 살 권한을 주는 것이다. 소식을 들은 사람들은 마냥 기다리는 것보다 훨씬 낫다며 이런 방식이야말로 ‘공정’하다고 말했다. 무작정 기다리는 것보다 낫다는 의견에 동의하면서도 마음속에 작은 의문이 생기기도 했다. 과연 그런 방식이 정말로 ‘공정’한가에 대해.
예를 들어 아직 어린 우리 둘째 같은 경우에는 시합에서 결코 우승하지 못할 것이다. 물론 엄마인 내가 대신 해 줘도 되겠지만 엄마가 해 줄 수 없는 경우라면 어떨까? 또는 우리 집 애들과 다르게 가위바위보도 잘하고 줄도 오랫동안 설 수 있지만 단지 돈이 없어서 빵을 사지 못하는 아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런 경우라면? 반대로 별로 기다리지도 않았고 본래 가위바위보도 잘하지 못하는데 어쩌다 보니 시합에서 이겨 빵을 구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별다른 노력 없이 그저 운이 좋아서. 그런 경우라면 또 어떠한가?
고작 빵 하나를 두고 지나치게 심각해진 것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공정’을 두고 워낙 말이 많은 시절이다 보니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된다. 생각해 보면 이 모든 상황은 결국 절대적인 수량이 부족해서 일어나는 것인데 말이다.
2022-07-1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