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은 IT 종사자
새로운 것은 만드는 것도 어렵지만 그 가치를 매기는 것도 어렵다. 그럴 때마다 나는 연세가 지긋하신 어떤 노인께서 나에게 토로하셨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후기를 떠올리곤 한다.
그 메신저는 당시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과 달리 채팅 메시지에 읽음 표시가 나타나지 않아 사용자들의 불만이 많았다. 그분 역시 그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것을 매우 불편해하시며 “그 옛날 우체국에서 편지를 보낼 때에도 ‘등기’로 보내면 이 사람이 읽었는지 안 읽었는지를 내가 알 수 있는데, 스마트폰에서 이것조차 안 되는 것이 이해가 되질 않는다”고 말씀하셨다. 메신저의 읽음 기능을 우체국의 ‘등기’에 빗댄 이 말씀으로 인해 새로운 것에 대한 나의 근본적인 시각을 바꾸게 되었다.
우리 세상에 ‘새로운 것’이라며 등장하는 많은 것들을 살펴보면 정말 새로운 것이 창조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경계를 허문 것’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앞서 말했던 “등기에도 있는 읽음 기능”은 우편과 온라인 메신저의 경계를 허물어 우편 체계를 온라인 메신저에 적용한 것이고, 애플리케이션을 쓰던 그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컴퓨터의 경계를 허문 기계장치인 것이다.
명언 모음집 등에서 쉽게 접하는 성경의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가 이토록 핵심을 꿰뚫는 말인지를 이제는 이해한다. 자연 속에서 먹을 것을 얻고, 사람들과 교류하며, 더 나은 방법으로 발전하고자 노력하는 우리 인류의 삶은 몇천 년 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 때문에 우리의 삶의 양식은 변화하고 기술은 발전하더라도 인간에게 필요한 새로운 욕구는 좀처럼 새로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새로운 것들은 그 본질이 갖고 있는 기대감에 과대평가돼 우리를 현혹한다. 빠르게 서쪽으로 떠나 금광을 선점해야 한다는 서부 개척시대의 시대적 잠언이 지금도 유효한 것만 같다. 그럴 때마다 나는 이러한 것들이 허문 경계를 따져 본다. 새롭기는커녕 ‘등기’만큼도 못한 것투성이다. 아직 산정되지 않은 새로운 가치를 좇기보다는 그것이 허문 경계의 가치를 매겨 보는 것, 새로운 게 없는 하늘 아래 살아갈 수 있는 지혜가 될 것이다.
2022-05-3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