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다양성 속의 편협한 세계/김영준 작가

[2030 세대] 다양성 속의 편협한 세계/김영준 작가

입력 2022-05-23 20:28
수정 2022-05-24 03: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영준 작가
김영준 작가
꽤 예전 유행어이긴 하지만 ‘취존’이란 표현이 있었다. 자신의 취향에 대한 존중을 요구하거나 혹은 타인의 취향을 존중할 때 쓰는 표현이다. 과거엔 이런 표현이 등장할 만큼 타인의 취향에 대해 그리 관대하지 않은 경향이 강했었지만 요즘에는 다양성의 용인과 개인주의의 확대로 타인의 취향에 대해 왈가왈부하지 않는 경우가 좀더 일반화된 것 같다. 더 나아가 여러 명이 모이는 모임에서도 어떤 것이 취향에 맞지 않는다거나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면 딱히 강권하지 않는 것이 예의가 됐다. 이건 분명 좋은 변화임에 틀림없다.

그렇다면 취향이란 무엇일까? 사전적 정의로는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방향이나 경향’을 말한다. 그러니까 자신의 마음에 드는 긍정적 감정이라 볼 수 있다. 호불호 또한 어떠한 사물이나 대상에 대해 즉각적으로 느끼게 되는 좋은 감정 혹은 나쁜 감정이란 것을 생각하면 취향과 호불호는 결국 긍정적인 감정의 추구라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 인간은 익숙한 것과 좋은 것을 제대로 구별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 반대로 익숙하지 않은 것은 불편하게 느끼고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게 된다. 이는 감정적 선호도가 높은 것만 추구할 경우 우리는 익숙함에서 벗어날 일이 없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우리가 싫어한다, 좋아하지 않는다라고 생각하는 것을 곰곰이 생각해 보자. 이미 충분히 경험해 봤는데도 나랑 맞지 않는 것인가? 아니면 잘 모르기 때문에, 익숙지 않아서 싫어하는 것인가?

이론적으로는 다양한 경험을 해 보고 그중에서 취향과 취향이 아닌 것을 구분해 가까이하고 멀리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실제론 그러기보다 편견에 의해 거부감을 갖는 경우가 훨씬 일반적이란 것이 문제가 된다. 잘 모르고 익숙지 않기 때문에 편견을 갖고 싫어하게 되는 방식은 차별이 작동하는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양성에 대한 존중 요구와 차별이 기저에서 작동하는 방식이 비슷하다는 점은 여러모로 아이러니한 부분이다.

타인의 취향에 대한 존중이 일반화되고 있는 시대이기에 자신의 취향과 호불호에 대한 자기검증이 필요하다. 과연 나는 내가 싫어하는 것을 나의 편견 때문에 싫어하는가? 아니면 충분히 경험해 봤음에도 잘 맞지 않아서 싫어하는 것인가? 치즈의 맛을 제대로 경험해 보지 못한 사람은 치즈 향만 맡아도 발냄새 같다며 싫어한다. 하지만 치즈의 맛을 아는 사람은 그 향이 고소하고 맛있는 향이라 이야기한다. 같은 향임에도 불구하고 경험에 따라 이를 인지하는 체감은 극단적으로 다르다.

다양성을 외치는 개인이 경험과 이해 대신 호불호를 먼저 앞세운다면 다양성의 시대를 사는 개인의 세계는 편협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다양성은 오래갈 수 없다.
2022-05-2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