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명묵 작가
혹자는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의 동진이라는 명백한 위협을 막기 위해 러시아가 전략적인 행동을 취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한다. 모스크바 코앞까지 서방의 군사적 위협이 닥쳤는데 이걸 눈 뜨고 방기할 수는 없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애초에 전쟁이 봉쇄된(혹은 봉쇄됐던) 세계에서 지정학적 위협론으로 전쟁을 감행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다. 애초에 동유럽 국가들을 나토로 끌어들인 것은 나토가 아니라 ‘위협적인 강대국’으로서 러시아 자신이 형성한 이미지였다.
그러니 러시아와 크렘린 수뇌부에 우크라이나는 어떤 이해득실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진정한 목적이었다고 가정하는 것이 더 상황을 잘 설명해 줄 수도 있다. “우크라이나는 독립적 민족국가라기보다는 러시아인과 ‘한 가족’ 같은 사촌 민족이다. 그런 사촌을 소련 정권이 억지로 독립시켰고, 서방이 러시아로부터 아예 떼어내려 한다고 본다. 서방의 자유민주주의는 우크라이나에서 모든 가치 있는 전통을 말살하고 우크라이나를 뿌리 없는 미국 같은 나라로 만들려고 하는 기획이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이에 저항하는 동부의 러시아인들을 탄압하기까지 한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개입은 러시아를 무너뜨리려는 거대한 기획의 신호탄이 될 것이다.” 이런 대러시아 민족주의의 서사에서 우크라이나는 그야말로 존재론적 위협이다.
자유민주주의를 체제의 논리로 내면화하고 있는 대다수의 서방인은 저런 서사에 기반해서 전쟁까지 감행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도 없고 용납할 수도 없는 것이다. 문제는 서방 자유주의에 동의하지 않는 이들이 갈수록 세력을 확장하고 자유주의 체제에 도전을 가하는 데 거침이 없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러시아, 이란, 중국이 그렇고 심지어 서방 안에서도 그런 경향은 강해지고 있다. 그러니 작금의 세계 질서의 위기는 본질적 차원에서는 사상의 위기이자 서사의 위기다. 이 위기로부터 지금의 자유주의 합의를 지켜내지 못한다면, 세계는 서로 충돌하는 수많은 서사의 난투극으로 금세 변해 버릴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변화를 막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자유주의에 대한 도전자들의 생각을 더 깊게 탐구할 필요가 있다. 러시아의 ‘이득’만 봐선 우크라이나 전쟁을 예측할 수 없었다는 점을 떠올리면 더더욱 그렇다.
2022-04-1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