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지영 베이징 특파원
문득 베이징에서 친분을 쌓은 한 국제 변호사가 해 준 말이 떠올랐다. 과거 미국을 위시한 서구세계가 중국을 어떤 이미지로 생각했는지 알고 싶다면 2008년 영화 ‘쿵푸팬더’를 다시 보라고. 판다 포를 주인공으로 한 어린이 만화 같지만 실은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중국에 대한 할리우드의 헌사라는 것이 그가 미국 지인들에게 들었다는 분석이었다.
포는 “국숫집을 물려받아 안정적인 삶을 살라”고 권하는 아버지의 뜻을 거스르고 무술로 세상의 평화를 지키고 싶어 한다. 이에 ‘용의 전사’ 선출식이 열리는 제이드궁을 찾지만 이러저러한 이유로 들어가지 못하자 얼떨결에 담장을 날아서 넘어간다. 이를 본 우그웨이 대사부(거북)가 그를 용의 전사로 임명한다. 시푸(너구리)는 ‘미완의 대기’인 포에 맞춤형 수행을 제시하며 용의 전사로 키운다. 이런 상황에서 과거 용의 전사가 되지 못해 반란을 일으켰다가 감옥에 갇힌 타이렁(표범)이 1000명 넘는 경비병을 제압하고 탈출한다. 타이렁에 맞서 세상을 지킬 능력을 가진 이는 포뿐이다.
포는 부족한 점이 많지만 누구보다 빠르게 성장한다. 친구들에게도 다정하고 유머러스하다. 영화가 만들어진 2000년대 중후반 미국인들이 떠올리던 중국의 국가 이미지다. 노인인 우그웨이와 시푸는 현 세계 질서를 이끄는 미국과 유럽연합(EU)을, 감옥에서 탈출한 타이렁은 제국의 부활을 꿈꾸는 러시아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영화는 ‘중국이 미국의 뒤를 이어 세계의 안정과 번영을 이끌 훌륭한 리더가 될 것’이라는 은유를 담고 있다.
변호사의 분석을 확인하려고 영화를 틀었다. 그런데 뜻밖에도 기자의 눈에는 중국을 상징하는 인물로 주인공 포가 아닌 악당 타이렁이 들어오는 것 아닌가. 부지불식간에 중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크게 놀랐다.
다시 남태평양 이야기로 돌아오자. 시 주석이 축사까지 하며 협정 체결을 호소했음에도 몇몇 국가가 이를 거부한 이유는 무엇일까. 근본적으로 중국이 이들에 ‘미국을 대신할 수 있는 국가’라는 신뢰를 심지 못해서다. 만약 포괄적 개발 비전을 미국이 제안했다면 남태평양 10개국은 만장일치로 수락했을 가능성이 높다. 과도한 영토 분쟁과 인권 탄압 논란,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의 말 한마디에 플랫폼 기업 전체를 얼어붙게 만드는 베이징의 거칠고 신경질적인 행보를 지켜보며 ‘중국에 우리의 운명을 맡겨도 될까’라는 불안을 느끼는 것이다.
미중 갈등이 본격화된 뒤로 중국의 소프트파워는 갈수록 약해지고 있다. 미국이 끊임없이 베이징을 비방하기 때문이지만 그렇다고 워싱턴이 아예 없는 말을 지어내는 것은 아니다. 중국 지도부가 현 패권 경쟁 국면에 슬기롭게 대처하려면 무엇보다 ‘소프트파워 부재’ 현실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2022-06-0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