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수 베이징 특파원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29일 공개한 40분짜리 다큐멘터리에는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31살이나 어린 김 위원장을 얼마나 극진하게 대접했는지 잘 나온다. 180㎝ 중반의 시 주석 키를 훌쩍 넘기는 거대한 도자기를 선물하는가 하면 두 번에 걸친 식사 대접을 통해 대를 뛰어넘는 북ㆍ중 우의를 천명한다.
26일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북ㆍ중 국빈 만찬장에서는 ‘대를 이은 조중친선’(朝中友意 世代相傳) 영상이 상영됐다. 1953년 김일성 주석의 첫 중국 방문과 1990·2001년 장쩌민(江澤民) 주석의 북한 방문, 1983년 방중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시 주석의 부친 시중쉰(習仲勳) 공산당 중앙위원이 두 손을 맞잡은 장면도 담겨 있다.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시 주석의 국빈 만찬 연설을 옮기면 이렇다. “내가 기억하기에는 1983년 6월 김정일 총비서 동지가 중국을 처음으로 방문했을 때 내 아버지가 김정일 총비서 동지를 역전에서 맞이했고 모진 더위를 무릅쓰고 고궁 참관에 동행했습니다.”
시 주석은 2008년 6월 국가부주석 자격으로 평양을 방문했을 때 김정일 위원장이 시중쉰의 환대에 매우 감동받았다고 말했던 일도 회고했다고 한다. 중국 관영 중앙(CC)TV는 14분짜리 뉴스를 내보내면서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의 말을 받아 적는 김 위원장의 모습을 집중적으로 보여 주었고, 북한 방송은 자신 있게 말하는 김 위원장을 부각했다.
북한이 대화에 나선 것을 두고, 핵 무력을 완성하고 한·미 동맹을 약화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는 주장도 있지만 중국이 참여한 유례없는 제재의 영향도 있다. 중국 해관총서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1~2월 북한에 들어간 석유는 175.2t으로, 지난해 상반기 월평균(1만 3552t)의 1.3%밖에 안 된다. 유엔이 규정한 것보다 훨씬 가혹한 조치였다. 중국의 대북 석탄 수출은 지난해 12월 이후 석 달 동안 아예 없었고, 철강은 월 257t에 불과했다.
시 주석은 2016년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에게 “이미 최빈국인 북한은 제재로 잃을 게 없다”고 말했다. 중국의 제재 참여는 결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권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제재 이후 북한에서는 “중국이 미국과 짜고 우리를 공격했다. 우리 핵무기가 중국을 겨냥할 수도 있다”는 생각도 있었다고 한다.
김 위원장이 베이징에서 한반도 비핵화의 해법으로 내놓은 ‘단계적 조치’는 오랜 세월 북한을 지켜본 사람들은 ‘새 병에 담긴 헌 술’일 뿐이라고도 한다. 2011년 5월 생전에 마지막으로 중국을 찾은 김정일 위원장도 후진타오 주석에게 비핵화 목표를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말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한반도 비핵화는 북한의 개혁 개방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김 위원장의 방중 수행단에 군 인사가 없었고 선대와 달리 민생 의식이 있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개혁 개방에 나설 수 있다. 실제로 김 위원장은 지도층에 “인상 쓰지 마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 김 위원장의 현장 시찰 영상을 살펴보면 스스로 웃는 표정이 많다. 그가 타고 온 1호 열차가 개방 호가 될지 지켜볼 일이다.
geo@seoul.co.kr
2018-04-0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