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우 도쿄 특파원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 계열인 한국학교는 일본 전역에 4개로, 정원을 다 합쳐 봐야 2100명뿐이다. 50만명을 넘는 재일한국인 수에 비하면 턱없이 적다. 그나마 대기자가 많아 들어가고 싶어도 못 들어가는 경우가 허다하다. 조총련계 학교는 80여개가 넘고, 학생 정원도 한국학교의 3배가 넘는다. 지인은 북한을 미화·찬양하는 데다 아들의 교우 관계가 조총련 학교 인맥들로 엮이고 굳어지는 것이 꺼려진다며 고민하고 있었다.
지인처럼 자녀를 조선학교에 보내는 재일 한국인이 적지 않다. 어떤 조선학교는 한국 국적자가 학생 전체의 절반을 넘는 곳도 있다고 한다. 북한 체제를 선전하고, 그들의 전략과 교육 이념에 따라 운영되는 곳에서 ‘우리 아이들’이 인격과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고 있다.
대학교까지 있는 조선학교는 조총련 사회의 기둥이다. 조총련이 생각 외로 잘 버텨 나가는 까닭에도 학교의 건재함이 있다. 학교 선후배, 동창 인맥은 조선학교 출신들을 제약하고 움직이는 원천이다. 최근 조총련의 한 간부가 “도쿄에서 주요 행사가 있을 때 7만~8만명 정도 모으는 것은 일도 아니다”라며 자랑한 것도, 빈말만은 아닌 배경에도 조선학교가 있다.
우리말을 잘하는 조선학교 출신들에 비해 한국 국적의 민단 계열 자녀들 가운데 한국말을 할 줄 아는 사람들은 매우 적다. 이런 가운데 재일교포와 1970년대 이후 일본에 정착한 뉴커머(신정주자) 자녀 세대들의 일본 귀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런 속도라면 30~40년 뒤면 한국 국적을 유지한 민단 출신 재일교포들은 찾아보기 어려울 수도 있다.
민단과 재일교포들처럼 뜨거운 애국심으로 조국에 기여하고, 헌신한 예는 세계사적으로 찾아보기 힘들다. 주일 한국대사관 등 일본 내 한국 공관 9곳을 이들의 기증이나 모금으로 세웠다. 서울의 올림픽회관, 올림픽공원 체조장과 수영장, 테니스장, 미사리조정경기장 등도 이들이 보내 준 돈으로 지어졌다.
1963년부터 1년 6개월 동안 한국에 반입된 재일교포 투자액은 1억 달러 이상으로 당시 한국의 1년 수출 총액 5400만 달러의 2배가 넘었다. 1998년 외환위기 때 그들은 15억 달러를 보냈고, 한국 국채 300억엔어치를 사들이며 모국 송금 운동을 벌였다.
올가을 창립 72주년을 맞는 민단도 거대한 조직에도 불구하고 무기력해지면서 존재감을 잃어 가고 있다. 1952년 이후 재일 한국인의 일본 국적 취득은 35만명을 넘었지만, 앞으로는 그 비율이 더 높아질 것이다. 재일교포들은 전 세계에 흩어져 사는 한국인, 한국인 디아스포라 사회의 축과 같은 존재다. 이들의 소중한 네트워크와 에너지를 어떻게 지구촌 시대, 한국의 힘으로 이어 나갈 수 있을까.
재일교포 3세 이상이 전체 교포의 54%를 넘어선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태도와 정책도 달라져야 한다. 국적에 관계없이 한국인의 뿌리와 정체성을 지닌 재일교포, 재일 한국인의 존재는 대한민국의 소중한 한 부분이다. 이들의 교육 문제와 정체성 유지가 단순히 그들만의 문제는 아니다. 우리 모두의 관심과 애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jun88@seoul.co.kr
2018-03-19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