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철현 일본 데쓰야공무점 대표
이것도 뭔가 ‘치트키’ 같은 느낌이 들긴 하지만 그래도 내심 뿌듯하긴 하다. 고2 때부터 제2외국어를 골라야 한다. 이 사립학교가 채택하고 있는 제2외국어는 프랑스어, 독일어, 중국어, 한국어다. 2019년까진 러시아어가 있었는데, 제4차 한류 열풍과 교직원, 학부모, 학생들의 전폭적인 지지로 2020년부터 한국어가 러시아어 자리를 꿰찼다. 현재 한국어 과목의 인기는 다른 외국어 과목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올해의 경우 한국어를 듣는 2학년 학생수가 전체 120명 중 60여명으로 절반을 차지한다. 설문조사를 했는데, 학생들이 한국어를 듣는 가장 큰 이유는 케이팝 가사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문득 23년 전의 아련한 추억이 떠오른다. 학교 졸업하고 게임회사에 플래너 겸 시나리오 작가로 첫 취직을 했는데, 마침 직속상사가 일본인이었다. 게임에 대해 문외한이라고 하니 생전 처음 보는 플레이스테이션2라는 게임기를 던져 주면서 이런저런 게임을 해 보라고 한다.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의 일본어 자막을 제대로 해석하기 위해 일본어 사전을 끼고 살았다. 그런데 강산이 두 번 바뀌니 이젠 일본 10대들이 한국어 노래 가사의 의미를 알고 싶어 한국어 과목을 수강하는 진풍경을 목격한다.
하지만 일본 아이돌, 특히 쟈니즈 계열을 추앙하는 큰딸은 그런 목적으로 한국어를 선택하진 않았다. 오직 “아무래도 성적은 좀 나오지 않을까?”라는 이유로 골랐다. 제대로 공부한 적은 없지만 한글 읽고 쓰는 법 정도는 아니까. 나중에 대학 추천에 필요한 전체 내신 등급 올리는 데 유리할 것 같아 선택했는데 웬걸, 첫 시험부터 만점을 받아 버린 거다. 지금은 학교에서 한국어 천재로 인정받아 친구들이 한국어에 관해선 모조리 큰딸에게 물어본다고 한다. 덕분에 대학 전공에 대한 고민도 해결됐다. 어느 날 한국어 선생님이 지나가는 말로 “미우는 좋겠다. 우리 땐 한국어 배울 대학 자체가 거의 없었는데…”라고 부러워하자 큰딸은 ‘아, 대학 전공을 한국어로 하면 되는구나’라고 무릎을 쳤다고 한다.
현재 이중국적자인 큰딸은 2년 후 만 18세가 되면 한국과 일본 중 하나의 국적을 선택해야 한다. 나는 그의 국적 선택에 관여할 생각이 전혀 없다. 어떤 국적을 취하더라도 존중할 것이다. 다만 어느 하나의 국적을 골랐을 때 다른 국적에 대한 관심이 아예 사라지는 것이 염려됐다. 그런데 이 걱정도 이번 에피소드를 계기로 자연스레 해소될 것 같다. 그것으로 족하다.
2022-06-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