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찬 탄소중립위원회 기후변화위원장
‘파리협정’ 채택에 따라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의 하나로 ‘탄소중립’을 선언한 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 세계 배출량의 3분의2를 넘었다. 산림청은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산림 순환경영과 보전·복원으로 산림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큰나무 가꾸기로 흡수 능력을 강화, 2080만t의 온실가스를 흡수하고 국산 목재제품 이용으로 220만t, 유휴토지 숲과 도시숲, 생활숲 조성을 통해 60만t의 온실가스를 흡수할 계획이다. 이는 서울시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적지 않은 양이다.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산림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늘려야 하지만, 우리나라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은 계속 줄어들고 있다. 2008년 6149만t으로 정점을 기록한 우리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은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4560만t을 흡수하는 데 그쳤다. 산림의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51년 이상 된 6영급 이상의 산림면적이 2020년 10.2%, 2030년 32.7%, 2050년 72.1%까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산림에 의한 온실가스 흡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나이 든 나무를 잘라내고 어린 나무를 심어야 효과적이지만 반론도 적지 않다. 산림은 그 자체로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하고 휴양과 치유의 장소이기 때문이다. 또 산림은 생물다양성의 거점이면서 탄소 저장고이고, 물 저장고의 기능과 공기정화의 기능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그 해결책으로 숲을 용도지역으로 구분해 관리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보호산림’의 숲은 벌채하지 않고 생물다양성과 경관을 잘 보전토록 하고 ‘기후대응산림’에는 나무를 심고 가꾸고 수확해 목재를 공급하면서 ‘그린 카본’으로서 숲의 탄소 흡수 및 저장 기능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자연에 의한 흡수에는 ‘블루 카본’도 있다. 블루 카본은 어패류, 잘피, 염생식물 등 바닷가에 서식하는 생물은 물론 맹그로브 숲, 염습지와 잘피림 등 해양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의미한다. 블루 카본이 중요한 것은 해양 생태계가 육지 생태계보다 탄소를 50배 더 빨리, 5배 더 많이 흡수하기 때문이다.
기후변화도 하나의 자연현상이라고 보면, 자연에 생긴 문제를 자연으로 해결하는 것이 최상이다. 그린 카본과 블루 카본 저장을 확대하고, 주택 공급 등으로 계속 사라지고 있는 도시녹지와 그린벨트를 잘 보전해야 한다.
2022-05-1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