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청와대는 역사적으로 경복궁 후원의 하나였고, 고려의 남경 터였다. 고려 때 술사 김위제(종 6품)는 개성은 지기가 쇠해 좋지 않으니 길지인 남경으로 천도하면 왕실이 번창할 것이라며 남경 천도를 주장했다.
숙종은 김위제의 남경 천도론을 받아들여 5년 공사 끝에 1004년 5월 궁을 완성하고 8월 10일 친히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남경에 창건된 영흥전에서 십일 동안 송축 잔치를 벌였다. 공민왕도 “남경으로 도읍을 옮기면 열여섯 나라에서 머리를 조아리며 조공을 바치게 된다”는 보우 선사의 말에 따라 1357년 천도하고자 했다. 이처럼 청와대가 있는 남경 터는 오래전부터 길지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1433년(세종 15) 7월 3일 지관 최양선(세조 때 종 3품)이 경복궁은 삼각산의 진맥에서 약간 벗어나 명당이 아니라는 반론을 제기했다. 응봉 아래 숭문원 터(서울 계동 현대사옥 뒤)가 명당이니 이곳으로 궁을 옮겨야 한다고 했다. 일개 지관의 상소 하나로 왕실은 말할 것도 없고 조정이 발칵 뒤집혔다. 정궁인 경복궁이 명당이 아니라면 지관의 말대로 궁을 새로 짓거나 옮겨야 하는 중차대한 문제가 된다. 사안의 중요성 때문인지 당시 사관들도 실록에 경복궁의 풍수 논쟁을 상세히 기록으로 남겼다.
다급해진 세종은 같은 달 9일 영의정 겸 풍수학 황희 등 풍수에 조예가 깊은 대신들을 남산에 올려 보내 지관의 말대로 경복궁이 명당인지 아닌지 사실 여부를 조사토록 했다. 그래도 못 미더운 세종은 7월 15일 또다시 황희, 예조판사 신상, 예문제학 정인지, 지관 안승선 등에게 직접 지금의 정릉 뒤편 높게 솟은 보현봉에 올라 백악이 어떻게 뻗어 왔는지 조사시켰다. 하지만 풍수에 일가견이 있는 신하들도 쉽게 결론을 내지 못했다. 한쪽이 맞다 하면 다른 한편은 그렇지 않다며 팽팽히 대립했다.
쉽사리 결론이 나지 않자 참다못한 세종은 7월 18일 직접 청와대 뒷산 백악에 올라가 삼각산의 내맥을 살피고, 숭문원 쪽으로 내려와 지관 최양선과 이양달로부터 상세한 장단점을 들었다. 더이상 시간을 끌면 문제가 커질 것을 염려한 세종은 “보현봉의 산맥이 직접 백악에 들어가 경복궁이 바로 명당이 된다”고 결론을 내렸다.
왕명으로 남산과 삼각산 보현봉을 답사한 황희, 신상, 정인지 등도 예부터 한양의 산세가 좌청룡(낙산)보다 우백호(인왕산)가 높고, 안산(남산)이 낮아 풍수적 결함으로 지적돼 왔지만, 궁궐 주변의 산들이 연이어 닿아 서로 응하고 조회를 받고 복을 가져와 그 기운이 경복궁에 모여 길지라며 경복궁 명당론을 옹호했다. 이로써 조정을 들끓게 했던 숭문원 터의 명당론에 종지부를 찍게 됐다.
최양선이 조정을 혼란에 빠뜨렸다 하여 수차례 죄를 청했지만, 세종은 “신하가 나라를 근심하여 숨김없이 진술한 것이 비록 맞지 않더라도 나라를 걱정하는 충성은 지극한 것이다”라고 옹호했고, 최양선은 무사했다.
이 일로 세종은 경연에서 풍수학을 강론케 해 배우고자 했다. 그러나 신하들은 경연에서 잡된 술수 중에서 가장 황당하고 난잡한 풍수학을 강의한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반대했다. 그럼에도 세종은 “비록 그러하더라도 그 근원을 캐 보겠다”며 풍수학을 배운 최초의 임금이 됐다.
2022-04-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