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설의 역사는 신라시대까지 올라간다. 7세기경에 나온 중국 역사서 ‘수서’와 ‘당서’의 “신라는 매년 정월 원단에 서로 경하하며, 왕이 연희를 베풀고 여러 손님과 관원들이 모여 일월신(日月神)을 배례했다”는 기록은 설날 풍속을 잘 보여 준다.
떡국은 설에 먹는 대표적인 절식이다. 설날에는 남녀노소, 빈부귀천의 구분 없이 설빔으로 갈아입고,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며 세찬으로 떡국을 먹는다. 떡국으로 차례를 지낸다고 해 설 차례를 ‘떡국차례’라고 하고, 설날 떡국을 먹어야 비로소 한 살 더 먹는다고까지 했다.
언제부터 설에 떡국 먹는 풍속이 생겼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1819년 서울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김매순의 ‘열양세시기’와 1849년 홍석모가 쓴 ‘동국세시기’에 떡국은 설 차례와 세찬에 없어서는 안 될 음식으로 시장에서 팔기까지 했다고 기록된 것으로 볼 때 그 역사가 오래됐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홍석모는 송나라 때 육방옹이 쓴 ‘건남시고’의 ‘세수서사시’ 주(註)에 시골 풍속으로 설날에는 반드시 떡국을 쓰는데, 이를 ‘동혼돈’ 혹은 ‘연박탁’이라고 한다고 한 것을 보고 떡국 먹는 풍속이 오래된 것이라 했다.
이처럼 송나라 때 설에 떡국을 먹었다는 기록으로 볼 때 송과 왕래가 잦았던 고려시대에도 떡국을 먹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최남선도 ‘조선상식’에서 설에 떡국을 먹는 것은 매우 오래된 풍속으로 상고시대의 신년 축제 때의 음복 문화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했다.
왜 설날에는 떡국을 먹을까. 장수와 재복을 구하는 것이다. 떡국의 재료는 쌀로 빚은 가래떡이다. 홍석모는 “설날이면 멥쌀가루를 쪄서 커다란 목판 위에다 놓고 떡메로 무수히 내리쳐 길게 늘여서 만든다”고 했다. 이처럼 가래떡을 다른 떡과 달리 끊어지지 않도록 길게 늘여 만드는 것은 장수를 상징한다. 엽전처럼 둥글게 써는 것은 돈을 상징하고 길게 늘인 가래떡처럼 재산이 쭉 늘어나라는 의미다. 또 흰 가래떡의 백색은 원초적인 색이며 자연과 가장 합일되는 순색으로 엄숙함과 장수, 시초를 상징한다. 특히 우리 조상들은 쌀에 곡령이 깃들었다고 여겼다. 쌀 ‘미’(米) 자를 풀면 ‘팔십팔’(八十八)이 된다. 나락을 모종해 쌀이 돼 밥으로 먹기까지 여든여덟 번 손이 갈 정도로 공이 많이 든다. 쌀은 우리 민족에게 식량이기 이전에 신앙의 대상물이었다. 그래서 흰쌀로 빚은 가래떡이나 백설기는 순수하고 깨끗해 부정이 들지 않는다고 믿었다. 새해 첫날인 설에 흰 떡국을 먹음으로써 일 년 열두 달을 아무 탈 없이 보내려고 한 것이다.
반면 개성 지역에서는 조랭이떡국이라 하여 흰떡을 가늘게 빚어 2~3㎝가량으로 끊고 가운데를 눌러 조롱박처럼 잘록하게 만들어 먹었다. 조랭이떡은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왕조를 세운 이성계의 목을 조르는 형상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그 유래에 대해 홍선표는 1940년에 쓴 ‘조선요리학’에서 “가래떡을 어슷어슷 길게 써는 것은 전국적이지만, 개성만은 조선 개국 초에 고려의 신심(臣心)으로 조선을 비틀어 버리고 싶다는 뜻에서 떡을 비벼서 끝을 틀고 경단 모양으로 잘라 내어 생떡국처럼 끓여 먹는다”고 했다.
2022-01-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