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왕의 이름은 왜 외자인가/전 국립고궁박물관장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왕의 이름은 왜 외자인가/전 국립고궁박물관장

입력 2021-07-25 17:34
수정 2021-07-26 01: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왕의 자녀는 원자를 비롯해 태어나면 아기씨(阿只氏)로 불렸다. 이어 아명과 본명을 짓고, 성장 과정과 지위의 변화에 맞춰 원자ㆍ대군ㆍ왕세자ㆍ왕세손ㆍ국왕 등 책봉명을 썼다. 이도(세종)니 이산(정조)이니 하는 이름은 그나마 사극에서 자주 나와 우리에게 친숙하지만, 왕의 이름 휘(諱)는 거의 불리지 않아 있는지 없는지 모를 정도로 생소하다.

왕은 일반인들과 달리 이름을 외자로 지었다. 태조의 초명은 성계이고 왕이 된 후 단(旦)으로, 정종도 방과를 외자인 경(?)으로 개명했다. 성종은 혈(?), 연산군은 융(?), 중종은 역(?), 효종은 호(淏), 영조는 금(昑)이다. 그 외에도 방계 혈통으로 왕위에 오른 철종은 원범이었으나 왕으로 즉위하면서 변(?)으로, 고종도 초명이 명복이었으나 즉위 후 외자를 써 희(熙)로 바꾸었다. 조선조 27대 왕 중 유일하게 태종 방원은 이름 짓기가 힘들다고 해 개명하지 않았고, 단종도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초명 홍위(弘暐)를 왕이 돼서도 그대로 썼다.

왜 왕의 이름은 두 자가 아닌 외자인가. 백성의 이름에 왕의 함자가 들어가는 것을 금기시했기 때문이다. 이를 기휘(忌諱)라고 한다. 기는 ‘꺼리다’, 휘는 ‘피하다’는 뜻이다. 문집이나 비석 등 금석문 등은 말할 것도 없고, 왕실에서 펴낸 의궤나 각종 책자를 발간할 때도 왕의 이름이 나오면 그 부위에 붉은 비단을 붙여 볼 수 없도록 했다. 그래서 백성의 불편을 덜기 위해 왕의 이름을 외자로 지은 것이다.

이런 기휘 제도에 대해 영조는 내 이름을 40년 동안 어느 누구도 말하지 않을 것을 알고 향기사(지방군) 장계 중에 나의 어릴 적 이름이 있어 승지가 읽지 못하는데, 나는 반드시 이렇게 할 것이 아니라 본다. 기휘하는 범위가 너무 폭넓게 적용돼 백성이 이름을 짓는 데 매우 불편하니 왕의 이름은 물론 심지어 음이 같다고 못 쓰게 하는 것을 일절 금하고, 이름을 지을 때도 기휘하지 말도록 했다.

이 때문에 백성이 이름 짓기 편하게 왕의 이름은 일부러 어렵고 거의 사용하지 않는 괴벽한 자를 골라 썼다. 심지어 자전에도 없는 글자를 집자까지 하여 지었다. 이는 1800년 정조가 아들 순조의 이홍(李?)이란 이름을 작명하는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다. “지금 세자의 이름을 지으며 옥(玉) 변을 쓰고자 하는데, 알기 쉬운 글자는 피하기가 어렵고, 알기 어려운 글자는 은벽한 단점이 있다. 그래서 옥 변에 공이 들어가는 자가 아주 좋을 듯하다. 또 선조의 이름은 일(日) 변에 공(公)이 들어간 자였는데, 이 자는 본디 자의도 씌어 있지 않은 것이었으나, 중국 사신들이 모두 아주 좋다고 해 마침내 ‘운보’와 ‘자서’에까지 끼워 넣었다. ‘자서’를 상고해 보면 그 음은 홍(洪)이고 뜻은 미옥(美玉)으로 돼 있으니, 음으로 보나 뜻으로 보나 참으로 진선진미하다고 이를 만하다. 경들의 견해는 어떠한가”라고 묻고, 정조는 음과 뜻이 좋다는 신하들의 칭송에 이름을 홍(?)으로 결정했다.

그럼 왕의 이름은 언제 누가 지을까. 그 시기는 일정하게 정해진 법은 없지만 대개 세자로 책봉할 때 짓는다. 종묘와 사직에 고하는 제문에 이름이 반드시 들어가기 때문이다. 문종은 13살 때 향이라 짓고, 왕세자로 책봉됐다. 현종도 7살 때 왕세손으로 책봉되기 위해 연(?)으로, 순조도 세자 시절 10살 때 홍(?)으로 지었다. 하지만 고종의 아들 순종은 태어난 지 1년 만에 이름과 자를 짓기도 했다.

왕의 이름은 의정부 대신, 관각의 당상관, 육조의 참판 이상이 빈청에 모여 의논해 결정한다. 추천된 이름 세 가지 중 하나를 왕이 낙점한다. 선조는 왕위에 오르면서 이름에 일(日) 자 부수를 넣은 경(?)ㆍ연(?)ㆍ요(?) 셋 중에서 연으로 했다. 영조는 사도세자의 이름에 심(心) 변이 들어가도록 짓도록 해 대신과 경재가 빈청에 모여 글자 셋 중 첫 번째인 선(渲) 을 낙점했다.
2021-07-2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