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세종을 비롯해 태조, 정종, 태종, 문종 등 조선 초 왕들은 살아생전에 왕비가 죽어 자신의 능보다 왕비의 능을 먼저 조성했다. 자연히 왕의 입김이 왕릉 조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세종은 일찍이 부왕 태종의 헌릉 옆에 능지를 정했다. 수릉지가 풍수지리적으로 불길하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세종은 아무리 좋은 땅이더라도 부모 곁에 장사하는 것보다는 못하다며 동분이실(同墳異室)로 자신의 능을 축조토록 했다. 즉 하나의 봉분 속에 합장할 수 있도록 석실을 둘로 나누어 오른쪽 서실(西室)에는 후일 세종 자신을, 왼쪽 동실(東室)에는 왕비를 안장하도록 했다.
세종의 비 소헌왕후가 1446년(세종 28년) 3월 24일 수양대군의 집에서 돌아가셨다. 열흘 뒤 4월 3일 세종은 영의정 하연, 이천 등과 왕비의 능실에 대해 논의했다. 이때 재궁(임금의 관)을 안치할 능실을 석곽으로 할 것인지, 목곽으로 할 것인지를 놓고 신료들 간 의견이 팽팽했다. 유해가 ‘땅의 좋은 기’(地氣)를 받느냐 그렇지 못하느냐 하는 중차대한 문제가 걸린 일이다. 왜냐하면 바닥이 있는 석곽을 쓸 경우에는 지기가 차단되고 나무로 목곽을 만들면 썩어 무너져 내릴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당시 영의정 하연은 집을 지을 때 주춧돌 위에 기둥을 세우면 기둥이 썩지 않고, 흙바닥에 세우면 쉽게 썩는 것과 같은 이치와 같다며 능실을 견고하게 해 살갗에 흙이 닿지 않도록 하는 석곽을 주장했다. 반면 과학적 식견을 가지고 있던 이천은 흙이 살갗에 닿지 않도록 한다는 것은 관곽(棺槨)을 말한 것이지 굳이 석곽을 가리켜 말한 것이 아니라며 석곽 설치를 반대했다. 정인지도 만일 석곽을 썼다가 재궁이 썩어 없어지면 백골이 돌 위에 놓이게 돼 오히려 해가 될까 두렵다며 목곽을 주장했다.
이처럼 신료들 간에 의견이 분분해 결론이 나지 않자 세종은 길천군(태종의 셋째 딸 경안공주의 부군 권규)의 묘를 예로 들어 직접 자신의 의견을 다음과 같이 피력했다. 길천군의 묘는 장사 때 석곽으로 축조했는데, 이장하려고 파 보니 관이 물에 떠 있었다. “차라리 짚으로 싸서 묻으면 비록 석곽 안에 물이 차더라도 고이지 않고 빠져나가 시신을 안온하게 할 수 있다”며 석곽 무용론을 폈다. 그러나 군왕을 얇게 장사할 수 없어 굳이 석곽을 써야 한다면 돌 가운데를 파낸 석곽으로 관을 덮어씌우든지, 아니면 큰 돌 가운데를 통째로 파내고 밑바닥은 없앤 뒤 물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위를 한 판으로 된 뚜껑을 덮어 물이 고이지 않고 빠져나가도록 하면 된다고 했다.
임금의 이 같은 의견에 이천은 석곽을 쓰면 목관이 썩어 유해가 그대로 차가운 돌 위에 놓일 수 있어 좋지 못하고, 그렇다고 석곽 없이 목곽만 쓰게 되면 나무가 썩어 재궁을 덮을 염려가 있으니 석곽을 쓰되 밑의 바닥 돌은 빼고, 그 안에 목관을 놓아 지기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세종은 이천의 주장을 받아들여 영릉을 석실로 견고하게 하고 밑바닥은 돌을 놓지 않고 땅의 기를 받도록 했다.
세종 1446년(세종 28년) 7월 16일 새벽 2시 왕비 소헌왕후의 재궁을 실은 큰 상여가 경복궁을 출발했고, 나흘째인 7월 19일 영릉에 안장됐다. 4년 뒤인 1450년 2월 17일 세종이 보령 54세로 승하하자 그해 6월 15일 새벽 2시에 영릉 서실에 합장됐다. 조선 왕조 최초의 합장릉이다. 영릉은 세종이 죽은 지 19년 되던 해인 1469년(예종 원년) 3월 6일 지금의 여주로 천장됐다.
2021-05-3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