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그럼 이런 남녀, 좌우의 위계는 무엇을 근거로 한 것인가. 살아 있을 때(生者)는 우(右)보다 좌(左)을 높인다. 즉 좌상우하(左上右下), 남좌여우(男左女右)를 전통으로 삼은 것이다. 문자 그대로 남자는 왼쪽에, 여자는 우측으로 해 좌측을 높인 것이다. 원래 중국의 전국시대까지는 우측을 높인 우상좌하(右上左下)였지만, 한나라 때 좌측을 높이는 남좌여우로 바뀌었다. 이것이 우리나라에도 그대로 적용했다. 중국은 음양 사상에 따라 남성은 양으로 좌, 여성은 음으로 우가 돼 음보다는 양을, 여자보다는 남자를 높였다. 반면 서양에서는 반대로 우측을 높이고 좌측을 천시했다.
중국의 좌측 숭상은 다음과 같은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노자는 ‘도덕경’에서 길사는 좌를 숭상하고, 상례와 같은 흉사에는 우를 숭상한다고 했다. 사마천의 ‘사기’ 여후본기에 전한의 주발이 여씨의 반란군을 진압하러 갈 때 장병들에게 “한조를 위해 싸우려는 자는 왼쪽 어깨를 드러내고 반란군 여씨를 위해 싸우려는 자는 우측 어깨를 드러내라”라고 했더니 모두 왼쪽 어깨를 드러냈다는 고사는 중국의 좌측 숭상을 말해 준다.
그리고 좌우를 방향으로 봤을 때 좌측은 동쪽이고, 우측은 서쪽으로, 동이 서보다 위다. 왜나하면 동쪽은 해가 반복해 뜨는 곳으로 생생력이 강해 양이며, 서쪽은 해가 지고 어두워 음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제일 높은 상석은 절대방위인 동서남북과 관계없이 북이 된다. ‘예기’에 천자가 북쪽을 등지고 남쪽을 바라볼 때 좌측을 동, 우측을 서로 여겼다.
이러한 위치는 나를 기준으로 해 본 것이지 보는 사람의 기준은 아니다. 이 같은 상석의 기준은 조선시대 관직과 전통의례 등 생활 속에 그대로 반영됐다. 왕을 중심으로 좌는 동반(문반), 우는 서반(무반)을 가리키고, 제사 때 병풍이나 위패, 지방이 놓인 자리가 북쪽으로 상석이다. 혼례 때 초례상이나 주례를 중심으로 좌는 신랑, 우는 신부가 선다.
풍수에서 묘를 중심으로 좌측을 좌청룡, 우측을 우백호로 칭한 것도 같은 예다. 조선시대 궁궐을 앉힐 때도 경복궁을 중심으로 좌묘우사(左廟右社)로 좌변에는 왕실의 위패를 모신 종묘, 우변에는 나라의 곡신을 모신 사직단을 두었다. 삼정승 중 좌의정이 우의정보다 높은 것도 이런 이유다. 심지어 운명을 감정하는 손금을 볼 때도 남자는 왼손, 여자는 오른손의 손바닥을 본다.
그러나 죽은 사람은 반대로 우측을 높인다. 왜일까. 퇴계 이황은 1557년 쓴 ‘수곡암기’에서 ‘신도(神道)는 오른쪽을 높인다’고 했다. 즉 귀신은 우측을 높여 숭상한다는 의미다. 죽으면 양에서 음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즉 사자는 산 자의 공간과는 정반대로 서쪽이 상석인 남우여좌, 우상좌하가 된다. 따라서 제사 때 신위를 남자인 고(考ㆍ아버지)를 서쪽에, 여자인 비(?ㆍ어머니)를 동쪽에 모신다. 고서동비(考西?東)다. 부부를 합장하거나 좌우 쌍분으로 할 때도 남자는 우(서쪽), 여자는 좌(동쪽)에 묻어 남우여좌가 된다. 살아서는 양인 좌인 동(東)이 위이지만 죽어서는 음인 좌인 서(西)가 상(上)인 것이다.
그럼 앞뒤의 경우 어느 쪽이 위인가. 뒤쪽이 상이다. 박세채는 ‘장법 소목설’에서 앞은 전(前)으로 남쪽이고, 뒤는 후(後)로 북쪽이 돼 앞보다 뒤가 높고, 남쪽보다 북쪽이 위라 했다. 즉 후고전하(後高前下), 북상남하(北上南下)가 된다. 이를 적용한 것이 여주 효종의 영릉이다. 왕의 능을 위에, 그 아래에 왕비의 능을 조성해 상하분으로 했다.
2021-05-0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